뷰페이지

코로나 사망 증가로 서울에서 태백까지 ‘원정 화장’

코로나 사망 증가로 서울에서 태백까지 ‘원정 화장’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2-03-09 17:21
업데이트 2022-03-09 1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3일 설을 앞두고 용미2묘지의 건물식추모의집을 찾은 추모객들이 미리 성묘를 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서울시립묘지 5곳의 실내 봉안당을 폐쇄할 예정이며, 폐쇄대상 실내 추모시설은 봉안당(승화원추모의집, 용미1묘지의 분묘형 추모의집, 왕릉식추모의집, 용미2묘지의 건물식추모의집) 4곳과 실내 제례실(건물식추모의집) 3개소이다. 2022.1.23 안주영 전문기자
23일 설을 앞두고 용미2묘지의 건물식추모의집을 찾은 추모객들이 미리 성묘를 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서울시립묘지 5곳의 실내 봉안당을 폐쇄할 예정이며, 폐쇄대상 실내 추모시설은 봉안당(승화원추모의집, 용미1묘지의 분묘형 추모의집, 왕릉식추모의집, 용미2묘지의 건물식추모의집) 4곳과 실내 제례실(건물식추모의집) 3개소이다. 2022.1.23 안주영 전문기자
동절기에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으로 사망자가 늘면서 상주들이 화장터를 구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화장터를 찾기 위해 서울에서 강원 태백, 인제, 충북 청주 등 먼 곳으로 ‘원정화장’을 떠나거나 화장 예약을 못해 4~5일장을 치르는 경우도 있다.

9일 보건복지부가 집계한 ‘월별 화장시설 이용현황’을 보면 전국 17개 시도 62개 화장장의 일 평균 화장건수는 지난해 2월 789.9건에서 올해 2월 925.5건으로 1년 만에 135.6건 늘었다.

정부는 화장 건수가 급증한 배경으로 인구 고령화로 인한 자연사 증가, 동절기(12~2월) 사망자 증가,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코로나 사망자 증가, 화장율 증가 등 크게 4가지를 꼽는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이달 1~9일 누적 사망자는 1382명에 달한다. 복지부 관계자도 “전체 사망자 증가에서 코로나19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20~30% 정도 될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 서울 송파구에 사는 A(59)씨는 지난 1월 어머니의 시신을 화장하려고 자택에서 131㎞가량 떨어진 강원 인제군에 있는 화장장에 가야 했다. 도봉구에 사는 B(63)씨는 아버지 장례를 3일장으로 치르기로 했으나 화장 예약이 늦어져 4일장을 치렀다. 화장도 서울이 아닌 경기 성남에서 진행했다. 100만원의 추가 비용은 B씨 부담이었다.

태백시화장장의 한 관계자는 “한 달에 30~33건을 화장하는데 벌써 57건을 화장했다”면서 “하루 최대 8구를 화장할 수 있는데 2건만 태백시 관내 사망자고 나머지 6건은 서울, 전라도, 경상도 등 타 지역에서 왔다”고 말했다. 강릉의 화장장 관계자도 “서울, 경기 쪽에서 코로나19 사망자가 늘면서 원정화장을 많이 오는 추세”라면서 “하루 최대 12구의 시신을 화장하는데 2, 3주 전부터 원정 화장이 급증하면서 평소보다는 2~3구 정도 더 많아졌다”고 했다.

수도권의 화장장 부족으로 원정화장을 가거나 장례 일정이 지연되는 건 코로나19 이전에도 있었지만 태백과 같은 지역까지 찾아가는 건 이례적이라고 장례업자들은 말한다. 충남 공주나래원 관계자는 “타지역 원정 화장 비율이 38% 정도 된다”면서 “3월 들어 갑작스레 화장 수요가 급증하면서 화장 일정을 제때 잡지 못해 3일장 대신 4일장, 5일장을 치르는 유가족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이종우 을지대 장례지도학과 교수는 “단기적으로는 화장장 가동률을 높여 하루 최대 화장 시신을 늘리거나 먼 곳까지 원정을 가는 유가족에게는 장제비용을 지급하는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 “장기적으로는 지역 실정에 맞게 지역거점화장장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영권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