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비정규직에 더 가혹한 코로나 충격...2명 중 1명 “소득 감소”

비정규직에 더 가혹한 코로나 충격...2명 중 1명 “소득 감소”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04-10 14:18
업데이트 2022-04-10 2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규직 20.5% 2020년 1월 대비 “소득 증가”
실직 경험 질문에 비정규직 31.4% “그렇다”
“아프면 쉴 수 있는 권리, 노동법에 도입해야”
이미지 확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가 지난달 23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정규직 철폐 등을 요구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2022.3.23 박지환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가 지난달 23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정규직 철폐 등을 요구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2022.3.23 박지환 기자
코로나19 유행 이후 2년간 비정규직 노동자 10명 중 5명은 소득이 줄었다고 답했다. 정규직 노동자 10명 중 2명은 같은 기간 소득이 늘었다고 응답했다.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지난달 24~31일 직장인 2000명(정규직 1200명, 비정규직 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코로나19와 직장생활 변화’ 설문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2020년 1월 대비 소득 변화를 묻는 질문에 비정규직 57.0%는 소득이 줄었다고 했다. 소득이 늘었다고 답변한 비율은 7.4%에 그쳤다. 반면 정규직은 소득이 늘었다는 답변이 20.5%로 소득이 줄었다는 답변 16.8%보다 많았다.

같은 기간 직장을 잃은 경험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비정규직 31.4%가 “그렇다”고 답했다. 정규직은 실직을 경험했다는 응답이 7.7%에 불과했다. 고용 형태별로 코로나19가 가져온 충격이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미지 확대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지난달 22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100만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임금차별 및 격차해소,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정교섭체계 구축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22.3.22 오장환 기자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지난달 22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100만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임금차별 및 격차해소,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정교섭체계 구축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22.3.22 오장환 기자
지난 3개월간 코로나19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불이익 걱정 없이 백신·검사·격리휴가를 자유롭게 사용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정규직 70.8%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비정규직은 48.0%로 절반이 안 됐다. 비정규직은 지난 3개월간 가족돌봄휴가를 자유롭게 쓰지 못했다는 답변이 73.9%에 달했다.

이들 단체는 코로나19에 확진된 응답자 430명을 심층 조사한 결과도 함께 공개했다. 확진자가 출근하지 않는 동안 근무처리 방식은 ‘추가적 유급휴가·휴업’(28.4%)이 가장 많았고 이어 ‘무급휴가·휴직’(25.8%), ‘재택근무’(23.3%) 순이었다.

격리 기간에 ‘무급휴가·휴직’을 했다는 응답은 비정규직(42.1%)과 정규직(16.2%) 사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출근하지 않은 동안 ‘소득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34.0%로 집계됐다. 정규직은 23.6%인 반면 비정규직은 51.6%로 나타났다.

권두섭 직장갑질119 대표는 “아프면 쉴 수 있는 권리인 유급병가 제도를 노동법에 도입하고 프리랜서 특수고용, 5인 미만 사업장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소영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