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해외에서 재택근무” 몰디브·호주 가는 직장인들

“해외에서 재택근무” 몰디브·호주 가는 직장인들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2-06-21 15:19
업데이트 2022-06-21 15: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인, 해외지역 원격근무 허용
몰디브·호주·뉴질랜드 등 포함
최대 90일… 기간 확대도 검토

몰디브 해안
몰디브 해안
원격 근무를 확대하는 정보기술(IT) 기업이 늘어나는 가운데 한국이 아닌 해외로 훌쩍 떠나 근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을 운영하는 라인플러스는 7월 1일부터 직원들의 원격근무지를 해외로 넓히는 ‘하이브리드 워크 2.0(LINE Hybrid Work 2.0)’ 근무제를 시행한다.

한국과의 시차가 4시간 이내인 국가라면 어디서든 근무가 가능하다.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는 물론 몰디브, 괌, 사이판,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뉴질랜드, 호주 등이 근무가능 지역에 속한다. 직원들은 원하는 나라로 떠나 긴 시간 체류하며 일할 수 있게 됐다.

라인은 첫 시행인 점 그리고 법적 요소를 고려해 우선 내년 3월까지는 해외 원격근무 기간을 최대 90일로 제한했다. 향후 상황을 고려해 확대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최적의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연간 204만원(매월 17만원) 상당의 현금성 포인트도 지급해 업무환경 구축이나 사무실 근무 시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라인은 지난해 7월 국내 어디서든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파격적인 근무실험으로 화제를 모았다. 한 달 이상 단위로 기간을 설정해 제주나 강릉 등 원하는 지역에서 생활하며 일하는 것을 1년간 허용했다. 굳이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고도 각자가 원하는 곳에서 한 달 동안 일할 수 있는 근무제도로 IT업계 전반의 근무문화 혁신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라인 측은 “전 세계 2억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라인 임직원들이 다양한 글로벌 환경에서 일하며 새로운 경험을 얻고, 리프레시를 통해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을 운영하는 라인플러스 직원들이 지난해 ‘원하는 곳에서 한 달 일하기’ 파일럿 프로그램 참가한 모습. 라인 제공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을 운영하는 라인플러스 직원들이 지난해 ‘원하는 곳에서 한 달 일하기’ 파일럿 프로그램 참가한 모습. 라인 제공
“대세는 출근·재택 혼합식 근무”
“원격 근무냐 사무실 근무냐 하는 논쟁은 끝났다.” 전통적인 사무실 출근과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재택 근무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근무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용 메신저 업체 슬랙이 만든 컨소시엄 퓨처포럼이 미국, 호주,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등의 지식근로자 1만7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매일 사무실에 출근하는 사람은 응답자의 30%에 그쳤다. 때로는 사무실에서, 때로는 집에서 일하는 혼합식 근무를 하는 사람은 지난해 11월 기준 절반이 넘는 58%에 이르러 6개월 전의 46%보다 늘었다. 혼합식을 선호한다는 사람은 68%로 3분의 2가 넘었다.

근로자들은 업무 장소와 시간 모두에서 유연성을 원했다. 78%가 장소의 유연성을 선호했고 유연한 근무 시간을 희망한 사람은 95%로 더 많았다. 현재 근무의 유연성에 만족하지 않는 사람들의 72%는 1년 안에 새로운 직장을 찾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미래의 업무 방식은 하이브리드”라면서 유연성은 점점 표준이 돼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성, 특히 워킹맘이 업무 장소와 시간의 유연성을 선호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원격 또는 하이브리드 근무를 하는 사람들이 사무실에서 풀타임으로 일하는 사람들보다 일·생활의 균형과 업무 관련 스트레스부터 생산성이나 직장 소속감에 이르기까지 모든 면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김유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