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더블링’ 우려 현실로…서울 확진자 2만명 넘었다

[속보]‘더블링’ 우려 현실로…서울 확진자 2만명 넘었다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2-07-25 21:59
수정 2022-07-25 2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확산세가 우려되는 가운데 24일 서울 용산구 보건소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2022. 7. 24 박윤슬 기자
코로나19 확산세가 우려되는 가운데 24일 서울 용산구 보건소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2022. 7. 24 박윤슬 기자
서울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98일 만에 2만명을 넘었다.

서울시는 25일 오후 9시까지 발생한 신규 확진자 수가 2만3159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주말인 전날 하루 전체 확진자 수 5967명의 3.9배에 달하며, 4월 13일(2만4970명) 이후 최대다. 2만명을 넘어선 것은 4월 18일(2만1814명) 이후 약 14주 만이다.

3월 16일 12만8352명까지 치솟았던 서울시 일일 확진자 수는 점차 줄어 6월 26일에는 599명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후 2000명대로 접어든 뒤 7월 둘째 주 4000명대, 셋째 주에는 9000명 내외로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을 보였고 지난주 1만명을 돌파에 이어 이날 2만명으로 1주만에 2배가 늘어났다.

한편 코로나19 재유행에 서울시는 임시선별검사소를 순차적으로 늘리고 있다. 병상도 추가로 확보 중이며 검사·진료·처방이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도 지속해서 늘리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