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명절 연휴 하루 30여명 사망… 운전에 ‘베테랑’은 없습니다[교통안전 행복 플러스+]

명절 연휴 하루 30여명 사망… 운전에 ‘베테랑’은 없습니다[교통안전 행복 플러스+]

류찬희 기자
입력 2022-09-08 20:46
업데이트 2022-09-09 1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 귀성길 들떠도 ‘안전 제일’

장거리 운행에 지·정체 겹쳐 피로
3년간 추석에 교통사고 2473건
창문 환기하고 틈틈이 휴식 필수
술 마셨으면 깰 때까지 기다려야

이미지 확대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8일 서울 서초구 경부고속도로 잠원IC 근처 경부고속도로 하행선이 정체를 빚고 있다. 박지환 기자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8일 서울 서초구 경부고속도로 잠원IC 근처 경부고속도로 하행선이 정체를 빚고 있다. 박지환 기자
추석 연휴가 시작됐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풀리고서 맞이하는 첫 명절이라서 이동 인구·차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 결과가 나왔다. 특히 고향 가는 길은 여느 명절 때보다 정체가 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들뜬 기분과 장거리 운행, 피로감 누적에 따른 무리한 운전이 대형 사고를 불러온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8일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SS)에 따르면 2019~2021년 3년간 추석 연휴 교통사고는 평균 2473건(하루 495건), 사상자는 4073명(하루 816명)이 발생했다. 이 기간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은 사람도 2019년 42명, 2020년 34명, 지난해 33명에 이른다.
올해 추석 연휴기간 동안 이동 인구와 차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안전운전이 더욱 요구된다. 교통연구원이 조사한 결과 하루 평균 이동 인구는 지난해보다 10.4% 늘어난 603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도로공사는 하루 평균 이동하는 차량이 542만대로 지난해보다 13.4%, 평시 주말보다 20% 정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추석 연휴 교통사고 원인을 분석해 보면 안전운전 불이행에 따른 사고가 유난히 잦다. 장거리 운행과 서다, 가다를 반복하는 데 따른 피로감 누적 등으로 운전자가 방심하는 사이 사고가 자주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졸음운전, 전방 주시 태만과 같은 안전운전불이행은 접촉사고부터 생명을 앗아 가는 대형 사고까지 이어진다. 특히 소통이 원활한 구간보다 정체 구간에서 유난히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무리한 운전은 대형사고를 불러온다. 안전운전불이행 다음으로 많은 사고가 신호위반, 안전거리 미확보, 교차로운행방법 위반, 중앙선 침범 사고 순이다. 이런 사고는 단순 접촉이 아니라 차체 측면에 충격을 주기 때문에 곧바로 중상이나 사망사고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특히 조심해야 한다.

이동현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처 연구원은 “급한 마음에 무리하게 추월하거나 끼어들기, 신호위반을 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며 “서두르지 말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나서 운전대를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장거리를 운전하고, 운행 시간도 많이 걸리는 만큼 여유를 갖고 출발하는 것이 안전운전에 보탬이 된다는 것이다.

장거리 운전과 지·정체로 운전자의 피로도는 어느 때보다 올라가고 졸음운전으로 이어진다. 피로를 풀고 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래도 졸음 신호가 오면 즉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거나 동승자와 운전을 교대해야 한다. 휴게소나 졸음쉼터에 들러 피로를 풀고 출발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명절이라고 한잔의 유혹에 넘어가면 안 된다. 친지들과 가볍게 한잔했더라도 반드시 술이 깬 후 운전해야 한다. 고속도로에서는 특히 2차 사고를 조심해야 한다. 2차 사고는 시야 확보가 떨어지는 야간에 더 많이 발생한다. 안전띠 착용도 필수다.

공동기획: TS한국교통안전공단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2022-09-09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