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안갯길 교통사고 예방
일교차 큰 10~12월 교통사고 급증가시거리 줄어 시야 확보 어려움
전조등·안개등·차폭등 켜면 도움
‘하얀 암흑’으로 불리는 안개가 짙게 낀 도로에서는 눈앞의 속도 경고판조차 희미하게 보인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모두 안갯길 교통사고가 불러온 참사다. 10~12월은 큰 일교차와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로 안개가 많이 끼면서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시기다. 안갯길 교통사고는 사망자 수가 전체 대비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치사율(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이 높은 게 특징이다.
안개는 대기에 있는 수증기가 기온이 내려가면서 응결해 지표 가까이에 작은 물방울이 뜬 현상. 지면에 큰 일교차가 발생하는 가을에는 기온이 낮은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쉽게 만들어진다. 강·호수나 바닷가와 가까운 곳은 낮밤의 기온 차가 커서 안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주변 다리를 박스 형태로 덮어 시야 확보를 어렵게 한다.
안개가 끼면 가시거리가 줄어들고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워져 추돌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특히 고속운전에서는 수십대의 다중 추돌사고로 이어지고 치사율도 높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안갯길 교통사고 치사율은 10.6명으로 비 오는 날(2.9명)이나 맑은 날(2.2명)보다 훨씬 높다. 특히 안갯길 차와 보행자 간 사고는 치사율이 25명까지 올라간다. 안개가 ‘하얀 암흑’으로 불리는 이유다.
안갯길 안전한 운전법은 무엇일까. 먼저 감속은 필수고, 안전거리는 평소의 두 배 이상 확보해야 한다. 안개가 낀 도로에서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전후방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가시거리가 100m 이내라면 속도를 20~50% 줄여야 만약의 사태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내 차의 위치를 알려 주는 것도 사고를 막는 길이다. 전조등, 안개등, 차폭등을 반드시 켜야 한다. 전방에 사고 발생이 확인되거나 갑자기 속도를 줄여야 할 때면 비상등을 켜 뒤차에 위험을 알리는 것도 사고를 줄이는 방법이다. 등화 장치를 자동 상태로 전환하면 흐린 날이나 새벽녘, 저녁 무렵에는 전조등이 켜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안갯길에서는 전조등을 수동으로 조작해야 한다.
안개등은 전조등과 달리 전방 바닥을 향해 직선으로 빛을 넓게 멀리까지 보낼 수 있다. 운전자의 시야 확보는 물론 반대편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나의 존재를 알릴 수 있는 등화 장치다. 반면 상향등을 켜면 작은 입자의 수분이 난반사를 일으켜 되레 전방 시야를 뿌옇게 할 수도 있다.
추월차로보다 주행차로로 운전한다. 부득이 진로 변경이나 앞지르기를 할 때는 가시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진입해야 한다. 충분한 거리를 두고 중앙선이나 가드레일, 앞차의 꼬리등 등을 기준으로 차로를 확보해도 좋다.
이동현 한국교통안전공단 연구원은 “안개는 구간마다 끼었다 사라졌다를 반복해 운전자가 예측할 수 없다”며 “안개 낀 날은 전방 주시율이 50% 가까이 떨어지기 때문에 감속과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동기획:한국교통안전공단
2022-10-1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