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후 이태원 압사 사고 사망자들이 안치된 서울 용산구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장례식장 입구를 경찰이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의 휴대전화 기반 전국 이동량 조사에 따르면 거리두기 해제 27주차(17~23일) 전국 이동량은 2억 8844만 건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같은기간(2억 6955만건)보다도 7.0%(1889만건) 증가했다.
핼러윈 기간을 특정해 데이터를 살펴봐도 거리두기 단계 해제마다 이태원 인파가 증가했음을 볼 수 있다. 서울시 공공데이터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한 29일 토요일 서울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이용객 수는 13만131명(승·하차 합계)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이전이었던 2019년 10월 26일 토요일에는 9만 6463명이 이태원역을 이용했다. 올해는 코로나19 이전보다 3만여명 많은 지하철 이용자들이 이태원으로 몰렸다.
반면 코로나19 첫 해인 2020년 10월 30일 토요일 이태원역 이용객은 2만 3962명에 불과했고, 2021년 10월 30일 이용객은 5만 9220명이었다. 2020년에는 방역당국이 나서 주말 핼러윈데이 때 가급적 대규모 파티나 행사를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지난해 핼러윈 기간에는 실외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가 강했는데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축제 분위기가 과열되자 당국이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완화 조치 시행 일자를 핼러윈 이후인 11월 1일로 미루기도 했다. 핼러윈 기간 영업제한 조치를 그대로 둠으로써 ‘밤샘파티’를 막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올해 들어선 상황이 달라졌다. 연초 오미크론 5차 대유행, 여름철 6차 대유행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거리두기가 계속 풀렸다. 지난 4월 18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영업시간 제한, 사적모임 인원 제한과 같은 방역 규제가 해제됐다. 지난 5월에는 ‘50인 이상’ 밀집 행사 등을 제외한 실외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가 풀렸고, 지난달 26일부터는 모든 실외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과태료 처분을 받지 않게 됐다.
현재 남은 방역조치는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와 7일간의 격리의무 뿐이다. 일상회복으로 코로나19 이전의 ‘보통의 삶’이 돌아왔으나 이전보다 더 많은 군중이 몰릴 공연장, 축제 등에서의 사고 위험도 함께 돌아오게 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