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6개 댐 건설 기초자료 수집 위한 종합계획 착수
식수댐 건설되면 사연댐 수위 낮춰 반구대암각화 보전 가능


울산시청
울산시는 내년 1월 소규모 댐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맑은 물 확보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착수한다고 10일 밝혔다.
소규모 댐 후보지는 2008년 ‘낙동강 하류 연안지역 청정수원 조사 용역’에서 발굴된 소호댐·복안댐·삼광댐·대운댐 4곳과 최근 울산시에서 찾아낸 신명댐·작천댐(이상 가칭) 2곳 등 6곳이다. 소호댐 등 4곳의 개발 가능 총량은 7만 1000t으로 운문댐 공급 용수량과 비슷하다. 하지만 경북 경주·청도 등과 협의가 필요하고 용역 이후 전원주택지, 공업단지, 수목원 등으로 개발돼 사업 추진에 어려움도 예상된다.
시는 소규모 댐을 건설해 하루 총 12만t 규모의 식수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줄어들 하루 7만t에 5만t의 여유분까지 고려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대구시와 구미시의 갈등으로 물 협정이 파기되면서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의 추진이 어려워져 울산 자체적으로 맑은 물 확보에 나서게 됐다”면서 “정부는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