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벗는 날만 기다리는 공공의대

마스크 벗는 날만 기다리는 공공의대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3-01-02 15:00
업데이트 2023-01-02 15: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국회 통과 실패한 공공의대 설립 법안
정부는 ‘코로나19 안정시’에 의정협의로 공공의대 설립 논의할 계획
전북도와 정치권은 마스크 착용 해지가 ‘안정’의 기준점이라는 입장

전북 남원 공공의대 설립 논의 여부가 새해 다시 재점화 될 분위기다. 지난 2020년 의정합의를 통해 정부와 의료계가 ‘코로나19 안정시’에 공공의대 설립 등의 문제를 논의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지역 안팎에선 실내 마스크 해지를 그 기준점으로 잡는 모습이다. 올해 공공의대 설립 여론이 극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이를 반대하는 의사단체와의 극심한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공공의대 신설을 골자로 한 법안은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안 ▲공중보건장학을 위한 특례법 전부개정법률안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등 5개로 분류된다. 남원을 지역구로 둔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이 있고,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에도 의료인력 확충이 적시된 만큼 법안 논의가 급물살 탈 거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실상은 보건복지위 법안소위 안건으로 오르는 것 조차 쉽지 않았다. 결국 의협과 타지역의 반발에 지난해 국회 본회의에서 관련 법안 통과가 무산됐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안정시 의정협의를 통해 논의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그 기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전북도와 지역정치권은 실내 마스크 벗는 날을 D-day로 염두해 둔 분위기다. 코로나 종식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집합금지 해제와 마스크 착용 해제를 ‘안정시’의 기준으로 삼을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또 총선이 있는 2024년이면 법안이 폐기된다는 점도 국회의원들로선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23년 올해의 국가 이슈’ 중 하나로 공공의료인프라를 선정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복지부에 ‘의료인력 양성 과정의 학생 정원 증원’을 공식 요청했다. 의대정원 확대 논의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전북도와 정치권은 기존 의대 정원을 활용한 공공의대 협의가 우선이라고 주장한다.

민주당 김성주 의원 측은 “공공의대 추진은 2018년 폐교된 남원 서남대 의대 정원 49명을 활용한 것으로 정원 확대와 다르다”며 “올해 안으로 법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