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학혁명기념관에 전시된 정봉준·김개남·손화중 이미지 사진.
동학혁명기념관이 지난 10일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인 전봉준(왼쪽부터)·김개남·손화중을 대상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을 신청했다.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제공
동학혁명기념관은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인 전봉준·김개남·손화중을 대상으로 4번째 독립유공자 포상을 신청했다고 11일 밝혔다.
현행 독립유공자법은 ‘일제의 국권침탈에 항거하다가 순국한 자는 순국선열에 해당한다’고 규정해 순국선열에 해당하는 자는 독립유공자로 서훈된다. 그러나 독립유공자 서훈을 심사하는 국가보훈처가 독립운동의 기점을 ‘을미의병’으로 정한 내규가 동학농민군 서훈을 막았다. 1895년 을미의병에 가담한 양반 서생들은 독립유공자로 서훈된 반면, 을미사변에 앞서 일제에 항거한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는 서훈 대상에서 배제된 것이다.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는 지난 1894년 3월 봉건체제를 개혁이 목적이었지만, 같은해 9월 2차봉기는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일어났다. 학계에선 1895년 10월 을미사변에 앞서 1894년 6월 경복궁을 점령한 뒤 고종을 포로로 잡고 친일내각을 만들어 국권을 침탈한 일제에 대한 항일 무장투쟁인 2차 동학농민혁명을 독립운동의 기점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윤영 동학혁명기념관장은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즉 동학의병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해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 형성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정과 2019년 2월 법정기념일 즉 국가기념일 제정으로 완결됐다”면서 “국가보훈처 공적심사 내규의 ‘독립운동(국권침탈)의 기점은 을미의병이다.’로 정해놓은 것을 ‘독립운동(국권침탈)의 기점은 동학의병(2차 동학농민혁명)이다.’로 다시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