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전국 최초 공유모빌리티 통합신고시스템 오픈

송파구, 전국 최초 공유모빌리티 통합신고시스템 오픈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24-01-09 09:50
업데이트 2024-01-09 09: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난립한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본격 정리
8일부터 구 누리집서 주정차 신고시스템 운영
신고자 수거업체 연결… 신속·편리한 후속처리

이미지 확대
송파구 누리집 내 통합신고시스템 팝업창. 송파구 제공
송파구 누리집 내 통합신고시스템 팝업창. 송파구 제공
서울 송파구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길 위 난립한 공유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통합 신고시스템을 구 누리집에 구축하고 지난 8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고 9일 밝혔다.

최근 국내 공유모빌리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이동장치의 무질서한 주정차로 인해 보행 불편과 안전사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1년 7월 서울시 공유 전동킥보드 견인제도 시행 이후 2년간 시에 접수된 견인 민원은 19만건이고, 전기자전거는 견인제도 조차 전무하다.

현재 공유모빌리티는 직접적인 단속이 어려워 업계의 자체 수거 노력이 절실하다. 관련 법령이 마련돼 있지 않아 행정청의 처분 권한과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구는 입법 공백을 메우고 공유모빌리티를 효과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선제 조치에 나섰다. 불편 접수부터 처리 현황까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공유모빌리티 통합신고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신고자와 처리자를 직접 연결하는 소통창구를 마련해 민원 처리의 편의성과 시의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현재까지는 업체 대부분 자체 콜센터가 없어 민원인이 업체별로 직접 수거요청을 하거나 구청을 거쳐야 하는 불편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더욱 빠르고 편한 조치 요청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 서울체육중학교에서 실시된 ‘찾아가는 전동킥보드 안전교육’ 모습. 송파구 제공
지난해 12월 서울체육중학교에서 실시된 ‘찾아가는 전동킥보드 안전교육’ 모습. 송파구 제공
신고자는 구 누리집에서 로그인 등 인적사항 입력 없이 주소만으로 간단하게 해당 기기를 신고할 수 있다. 관내 7개 공유모빌리티 업체의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모두 수거 요청이 가능하다.

구청을 거쳐 민원을 전달받았던 업체들도 견인 전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지면서 과태료 부담을 덜게 됐다. 실시간으로 민원 목록을 확인해 처리하는 등 자체 관리 감독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 역시 철저한 시스템 관리와 함께 민원처리 현황을 꾸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한편 구는 지난 9월부터 방치된 전동킥보드 관리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방침을 수립하고, 공유모빌리티 업체와 핫라인을 유지하며 업무협의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긴밀한 민관 협력체계를 이어가고 있다.

서강석 송파구청장은 “전동킥보드 난립 해소를 위해 전국 최초로 구축한 통합신고시스템이 구민의 통행권을 보장하는 데 이바지하길 바란다”며 “급변하는 교통환경에 맞춘 시의적절하고 안전한 도보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두걸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