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온도 오르자 기현상 속출
지난 8월 부산 송정해수욕장 인근에 해파리가 떠 있다. 연합뉴스
올여름 휴가때 해수욕장을 찾은 관광객들은 해파리 떼의 습격에 곤욕을 치렀다. 독성을 가진 노무라입깃해파리 등의 출현으로 동해안을 중심으로 해변 곳곳의 입장이 통제되기도 했다. 해파리 떼가 급증한 건 올해 유난히 높은 우리나라 주변의 바다 온도의 영향이 크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1㏊당 0.3마리에 불과했던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수는 올해 108마리로 약 360배 증가했다. 독성해파리 출현 종도 2022년 7종에서 지난해 10종으로 늘었고, 올해는 더 많이 증가했을 것으로 보인다.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이전에는 출몰하지 않았던 해파리가 우리나라 주변 해역으로 몰려든 것이다.
끓는 듯한 바다 온도는 해파리 증가뿐 아니라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의 원인으로도 지목된다. 올해 폭염은 이례적으로 팽창한 아열대 고기압이 주된 원인이다. 기존 북태평양고기압은 일본 남해안 근처에 형성됐지만, 올해는 크게 팽창해 우리나라 남부까지 뒤덮었다.
기존에 우리나라 북쪽을 덮는 티베트고기압에 더해 북태평양고기압까지 ‘이중 고기압’이 형성되면서 낮 동안 달궈진 열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밤낮을 가리지 않는 더위’가 이어진 것이다. 북태평양고기압이 이렇게 팽창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만큼 많은 열이 우리나라 주변의 바다에서 유입돼서다. 바다가 뜨거웠기 때문에 이중 고기압이 가능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온도는 얼마나 오른 걸까. 국립수산과학원이 발간한 ‘2024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보고서’를 보면, 1968년부터 지난해까지 56년간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표층(바다 표면과 가까운 해수) 수온은 1.44도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 세계 평균을 보면 0.70도 상승했다. 우리나라 주변 바다가 세계 평균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더 온도가 오른 것이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해역 3㎞ 내 2100년의 표층 수온 변화도 예측했다. 그 결과, 지금보다 평균 4도 내외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동해는 최대 5도 내외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앞으로 76년 뒤 바다는 지금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뜨거워진다는 얘기다.
이런 바다는 어류 양식에도 큰 피해를 준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13년간 자연재해에 따른 양식어업 피해는 총 3260억원이고, 이 중 고수온으로 인한 피해는 1947억원이다. 전체 피해액의 60% 수준이다.
이준이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교수는 “인간이 배출하는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지구에 축적된 에너지의 90% 이상을 바다가 흡수하면서 해수면 온도가 올라간다”며 “올해의 기현상들만 봐도 전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에 대한 대책을 논의해야 하는 이유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