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 지적에 결국…“내년부터 콘서트 대관 시 그라운드석 제외”

손흥민 지적에 결국…“내년부터 콘서트 대관 시 그라운드석 제외”

하승연 기자
입력 2024-09-14 20:25
수정 2024-09-14 22: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손흥민 ‘아쉬움 가득’
손흥민 ‘아쉬움 가득’ 지난 5일 오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3차 예선 대한민국 대 팔레스타인의 경기. 0 대 0으로 경기를 마친 후 손흥민이 머리를 만지고 있다. 2024.9.5 연합뉴스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 상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며 논란이 된 가운데 경기장의 잔디 보호를 위해 내년부터 콘서트 등 문화행사는 ‘그라운드석 판매 제외’를 조건으로 대관이 허용될 전망이다.

14일 서울시는 지난 5일 팔레스타인과의 월드컵 지역 예선 이후 논란이 제기된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 상태와 관련해 월드컵경기장 잔디 보호를 위해 특별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시는 “그간 하이브리드 잔디 도입,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잔디관리시스템’ 도입해 보식용 예비 물량 확보를 통한 신속복구체계 구축 등 잔디 보호에 최선을 다해 왔다”며 “최근 기록적인 폭염 등 기상 이변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그라운드 상태 유지에 어려움이 있어 대관 방침을 변경한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믿을 수 없는 경기 결과
믿을 수 없는 경기 결과 지난 5일 오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3차 예선 대한민국 대 팔레스타인의 경기. 0 대 0으로 경기를 마친 후 손흥민이 아쉬워하고 있다. 2024.9.5 연합뉴스


앞서 한국 축구대표팀 선수들은 팔레스타인전 경기 후 상암월드컵경기장의 잔디 상태에 불만을 드러냈다. 대표팀 주장 손흥민 선수는 지난 5일 팔레스타인과의 경기를 마친 뒤 취재진을 만나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에 문제가 있다고 언급했다.

당시 손흥민은 “기술 좋은 선수들이 많은데 볼 컨트롤이나 드리블에서 어려움이 있다. 홈에서 할 때 개선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후 축구 팬들은 오는 21~22일 월드컵경기장에서 예정된 가수 아이유 콘서트를 취소해달라고 민원을 잇달아 제기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9월 서울 KSPO 돔 팬 콘서트에서 인사하는 아이유.  이담엔터테인먼트 제공
지난해 9월 서울 KSPO 돔 팬 콘서트에서 인사하는 아이유. 이담엔터테인먼트 제공


다만 이번 아이유 콘서트는 예정대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미 약 10만장의 전석 티켓이 매진된 상황이라 행사를 취소할 경우 주최 측의 손해가 커질 뿐 아니라 콘서트를 기다리던 시민·관광객들의 불편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행사 주최 측 또한 잔디보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잔디 그라운드 내 가설 무대 미설치 등 잔디보호를 위해 적극 동참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콘서트 등 문화행사 대관을 아예 금지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국내외에서 K팝 콘서트 관람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있는 데다, 현재 서울에 2만명 이상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공연장이 없는 상황임을 고려해 그라운드석 판매를 제외한 부분 대관만 허용하기로 했다.

경기장에 조성된 ‘한지형 잔디’(생육 적온 15~24도)의 특성을 고려하고, 올해와 같은 폭염에 대비하기 위해 하절기에는 잔디 사용을 자제하도록 관련 기관과도 협의할 예정이다. 또한 시와 시설공단에서는 추석 연휴 기간에도 훼손된 잔디를 긴급히 보수·정비해 밀도가 낮아진 잔디 상태를 정상화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다음 달 15일 월드컵 아시아 지역 제3차 예선 한국과 이라크 간 경기에 지장이 없도록 추석 연휴기관과 이후에도 잔디 복구에 최선을 다할 전망이다. 최대한 잔디를 보강한 뒤 축구 경기 관리자들과 합동으로 그라운드 상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에코친구들과 제18차 고덕천 정화활동 함께 펼쳐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6일 강동구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환경활동 모임인 ‘에코친구’와 함께 고덕천 정화활동을 펼친 소식을 전했다. 이날 활동에는 문현섭 구의원도 함께 했다. 고덕천 일대에서 오후 2시부터 진행된 이번 정화활동은 쓰레기 수거와 환경정비를 중심으로 펼쳐졌으며, 지역사회에 자연보호 의식을 확산하고 회원 간 친목을 도모하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 특히 박춘선 의원은 행사 내내 에코친구 회원들과 함께 직접 쓰레기를 줍고 고덕천을 정비하며, 행동으로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몸소 실천했다. ‘강동엄마’ 박춘선 의원은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환경 정화활동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생태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고덕천을 중심으로 지역 환경 보호와 생태계 복원을 위해 꾸준히 활동하며 주민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환경 캠페인을 펼쳐왔다. 박 의원이 지역주민들과 함께 힘을 합쳐 지속적으로 펼쳐나가는 이로운 활동은 작은 변화를 하나둘 쌓아가며 고덕천 환경을 눈에 띄게 개선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주민들 역시 “고덕천이 전보다 훨씬 깨끗해졌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체감하고 있으며, 이는 박 의원과 에코친구들, 그리고 지역환경단체 회원들의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에코친구들과 제18차 고덕천 정화활동 함께 펼쳐

김영환 서울시 관광체육국장은 “그라운드석을 제외한 문화행사 대관 조치 시행은 물론 잔디 상시 정비, 신속 복구로 축구선수들이 최상의 경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축구팬들과 공연팬들의 입장을 절충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 끝에 얻은 결론으로 너른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