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2일 전국 고교 학력평가… 준비 요령·활용 가이드

12일 전국 고교 학력평가… 준비 요령·활용 가이드

입력 2014-03-11 00:00
업데이트 2014-03-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능 대비 취약한 문제유형·단원 파악… 잘못된 학습방법 개선할 계기로 삼길

전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12일 실시되는 서울시교육청 주관 전국연합학력평가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체제로 실시된다. 고3 입장에서는 학력평가가 자신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앞으로 학습 방향을 정하기 위한 가늠자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올해에는 지난해 난이도에 따라 A, B형으로 나뉘어 치러지던 수능 영어가 다시 통합되는 등 수능 체제에 변화가 있다. 때문에 입시 전문가들은 이번 학력평가에서 올해 수능 출제 경향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 평가이사는 10일 “3월 학력평가는 2015 수능의 출제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자신이 취약한 유형 및 단원이 무엇인지, 학습방법에 잘못된 점은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재수생 응시 없이 재학생만 치른다는 점, 시험 범위에서 수학의 ‘적분과 통계’나 ‘기하와 벡터’가 제외되는 등 고교 전 영역이 범위인 수능과 차이가 난다는 점 때문에 3월 학력평가 결과를 과대평가할 필요는 없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대신 단 하루의 시험으로 고교 3년 성적을 평가받는 ‘큰 시험’인 수능에 대비해 시간 분배 감각을 기르거나 자신의 시험불안도를 측정하려면 3월 학력평가가 요긴하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큰 병을 예방하기 위해 건강검진을 하듯 3월 학력평가는 수능 실패를 예방하고 성공적인 대입을 위해 자신의 역량을 검진한다는 마음으로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시간 분배 감각은 의외로 수능 성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고 김 소장은 설명했다. 수능에서 어려운 문제를 넘기지 못하고 집착해 수월하게 풀 수 있는 문제까지 놓치는 일이 종종 있기 때문이다. 이런 억울한 상황을 피하려면 고3들은 어려운 문제를 과감하게 넘기고, 다른 문제를 풀고 난 뒤 집중하는 시간 분배 습관을 이번 학력평가와 6월, 9월 모의평가를 통해 연습해야 한다.

개인차가 심한 시험불안 상태를 파악하고 대비하는 연습도 필요하다. 김 소장은 “적절한 시험불안은 긴장감을 불러일으켜 성적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되지만 과도한 시험불안은 정신적 잡음을 일으켜 문제 독해를 어렵게 만든다”면서 “시험불안 때문에 시험을 망치고 재수를 반복하는 학생도 많은데, 학력평가에서 과도한 시험불안 조짐이 보인다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3월 학력평가를 치르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은 이후에 생긴다. 점수를 매긴 뒤 전국 단위에서의 자신의 객관적 성적과 취약점을 파악하고 1년 동안의 입시 전략을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김영일교육컨설팅은 “3월 학력평가는 본인의 현재 위치를 알고 출발점을 제대로 진단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시험이니 점수가 잘 나왔다고 자만하지도 말고 기대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았다고 실망할 것도 없다”면서 “부족한 부분을 바탕으로 학습계획을 세워 마지막 수능에서 성적이 어떻게 나올지 고민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3월 학력평가 성적표는 실제 수능 성적표와 같이 표준점수와 백분위로 나온다. 표준점수는 과목별 응시자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고려해 산출된 점수이고 표준 점수에 의한 백분위는 전국에서 자신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의 수를 비율로 나타낸 수치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에서 전국 백분위가 90.0%로 표시됐다면, 성적을 더 잘 받은 학생이 10%라는 얘기다.

성적표에는 또 세부평가 영역별 득점, 보충학습이 필요한 문항 번호, 문항별 채점표 등이 제공된다. 학생별로 자신의 취약점을 파악할 수 있게 한 조치다. 예를 들어 수학 영역에서는 계산, 이해, 추론, 문제해결 영역으로 구분해 자신의 득점과 전국 평균을 비교해 준다. 또 성적표 뒷면에 문항별 세부영역을 표시해 주기 때문에 설사 틀리지 않았더라도 어렵게 푼 문제가 어떤 영역이었는지 대조해볼 수 있다. 성적표에 함께 표시되는 ‘문항별 채점표’는 자신이 표기한 답과 정답, 채점 결과, 정답률이 표시된다. 정답률은 A~E로 표기하는데 A는 전체 수험생의 80% 이상, B는 60~80%, C는 40~60%, D는 20~40%, E는 20% 미만의 정답률을 가리킨다. 따라서 수험생 입장에서 A가 가장 쉬운 문항이고, E가 가장 어렵다는 얘기가 된다.

수능 대비뿐 아니라 대입 유형을 결정할 때에도 3월 학력평가 성적표를 참고할 수 있다. 대학마다 수능 영역별 반영률이 다르고 영역별 수능 최저등급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자신이 지원하는 대학과 학과에 맞춰 자신의 성적을 재조합해 보고 취약한 부분을 파악한다면 남들보다 먼저 목표 대학과 학과를 정하고 그에 맞춰 진학 계획을 짜는 데 유리하다. 단 3월 학력평가 성적을 맹신하면 안 되는 이유는 실제 수능에서는 재수생이 합쳐지기 때문이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연구한 ‘2013 한국교육종단연구’에 따르면 재수생의 수능 성적은 이 재수생들이 고3일 때와 비교해 국어·수학·영어 3개 영역 평균으로 0.75등급 오른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3-11 21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