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리에 모인 교육감들도 ‘국정교과서 충돌’

한자리에 모인 교육감들도 ‘국정교과서 충돌’

김기중 기자
입력 2015-10-15 23:16
업데이트 2015-10-16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도교육감협의회서 찬반 설전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놓고 진보 교육감과 보수 교육감이 15일 설전을 벌였다. 또 국정화에 반대하는 학계와 교육계의 움직임도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하나의 교과서가 국론 분열을 부르는 모양새다.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는 15일 강원 강릉시 라카이 샌드파인에서 15개 시·도교육감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자리는 한 달에 한 번씩 열리는 교육감 협의회와는 달리 강릉에서 열리는 전국체육대회를 앞두고 간담회 형태로 열린 것이다.
이미지 확대
합의 불발 시·도교육감들
합의 불발 시·도교육감들 교육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발표 후 전국 시·도교육감들이 처음으로 만났지만 아무런 합의도 도출하지 못했다. 15일 강원도 강릉 라카이 샌드파인 리조트에서 열린 전국 시·도교육감 협의회 간담회에 참석한 교육감들이 기념사진을 찍은 뒤 굳은 얼굴로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강릉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협의회장인 장휘국 광주교육감은 인사말에서 “지난 12일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발행 체제를 국정화한다는 정부 발표 이후 각계각층에서 뜨겁게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며 “마치 블랙홀처럼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장 교육감은 이어 “역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시선은 더 높은 수준의 역사관을 수립할 수 있는 데 비해 일방적으로 확정한 하나의 교과서는 획일적인 역사관을 작성하는 것으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우동기 대구교육감이 장 교육감의 인사말이 끝나자 “왜 오늘 의제에도 없는 이야기를 하느냐”고 사과를 요구하면서 설전이 시작됐다. 주변이 술렁이자 김복만 울산교육감이 “이 사안에 대해 굳이 이 자리에서 갑론을박할 필요는 없지 않으냐”고 중재에 나섰다. 우 교육감은 “협의회장인 장 교육감의 지금과 같은 발언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간담회를 비공개로 진행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서는 한국사 교과서와 관련한 논의가 더이상 진행되지 못했다. 교육감 일부가 국정교과서에 대한 논의보다 누리과정 예산 관련 논의를 마무리하자는 의견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이날 조희연 서울교육감과 이재정 경기교육감은 출장 등으로 불참했다.

앞서 한국외대·성균관대·서울시립대·중앙대 등 4개 대학 사학과 교수 29명은 이날 공동으로 성명을 내고 “국정교과서의 집필 참여를 거부할 뿐 아니라 국정교과서 제작과 관련한 어떠한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날 이화여대 교수 74명과 서울여대 교수 62명, 부산대 역사 관련 전공 교수 24명, 전남대 교수 19명도 불참 의사를 밝혔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5-10-16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