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학종’ 비난보다 정착 위한 토론을

[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학종’ 비난보다 정착 위한 토론을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8-04 17:56
업데이트 2016-08-04 17: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 용인의 한 일반고에서 친환경 도시에 관심이 많은 3학년 A군을 만났습니다. A군은 1학년 때 이 주제에 관심 있는 학생들과 함께 소규모 동아리를 만들고 스티로폼으로 친환경 도시 모형을 직접 제작해 1년 넘게 연구를 진행, 보고서까지 써냈습니다. 바람이 지나가려면 도로 모양을 어떻게 해야 하고 건물의 높이는 어느 정도까지 해야 하는지 실제로 드라이아이스 수증기를 넣어서 실험했습니다.

서울 서초구의 일반고에서 만난 3학년 B양은 금융수학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5개월 동안 미국, 캐나다, 영국, 뉴질랜드 등 8개 나라 고교에서 수학을 통해 금융을 어떻게 가르치는지를 다른 학생들과 분석하고 1, 2학년 8개 반에 설문지를 배포해 그 결과를 토대로 소논문을 쓰기도 했습니다.

서울신문이 지난 4월 연재했던 ‘주목받는 일반고’ 취재 때 만난 학생들 이야기입니다. 학교 내신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에 여념이 없었고, 그래서 변변한 동아리 활동 한번 제대로 해 본 적 없는 기자로선 고교생들의 이런 변화가 낯설었습니다.

교사들은 흐뭇한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소규모 동아리를 만들고 이를 정식 동아리 활동으로 인정받으려면 대개 지도교사가 있어야 합니다. 학생들이 삼삼오오 찾아와 “지도교사가 되어 달라”고 부탁하는 모습이 그렇게 예쁠 수 없다고 교사들은 말합니다. EBS 교재를 달달 외우고 수능에만 몰두하던 학생들이 동아리 활동을 즐기고 자신의 진로와 대입에 대해 고민하는 모습이 대견하다고 합니다. 수업 시간에 자는 학생도 대폭 줄었다는 게 많은 교사의 전언이었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이 이런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올해 전체 대학 신입생 정원의 20% 남짓을 이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선발하는데, 내년에는 24% 정도로 그 비중이 늘어납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이 비중을 높이면서 다른 대학들도 이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매년 그 비중이 늘어나는 데다 고교의 반응이 워낙 좋아 ‘학종시대’라는 말까지 나옵니다.

그러나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한 비난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숫자로 딱딱 떨어지는 교과 성적, 수능 성적과 달리 비교과 활동을 평가하다 보니 일부에서는 맹렬한 비판이 쏟아집니다.

학생은 어느 학교냐에 따라, 어느 교사를 만나느냐에 따라 비교과의 결과물이 판이해집니다. 학교가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을 잘 담아내는 프로그램을 갖추지 못했거나, 의욕 없는 교사가 학생들의 지도를 거부하거나, 담임교사가 학생부 기록에 미숙하면 학생이 아무리 노력해도 좋은 결과가 나오지 못합니다. 부모의 경제적 능력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또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고액의 컨설팅이 횡행합니다. 교과 활동 외에 비교과 활동까지 챙겨야 해 학생들이 피곤해진다는 비난의 목소리도 큽니다.

하지만 학생부 종합전형은 지금까지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전형이라는 평가가 더 우세합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돌과도 같습니다. 표면이 거칠고 빛깔이 둔탁하지만 잘만 다듬으면 반들반들 빛나는 옥돌이 될 수 있습니다.

대입에서의 비중이 더 커지는 만큼 그에 맞춰 무수히 쪼아 대고 먼지를 털어 내 보석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대학이 나서서 학종의 불공정성을 걷어 낼 수 있는 전형을 만들어야 합니다. 교육부는 이와 관련해 올바른 학생부 종합전형의 정착을 위해 토론의 장을 늘려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모난 학종, 더 늦기 전에 다듬어야 합니다.

gjkim@seoul.co.kr
2016-08-05 19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