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방에 칠판이, 창가는 무대로… 꿈을 심는 교실

사방에 칠판이, 창가는 무대로… 꿈을 심는 교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02-15 19:30
업데이트 2022-02-16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 미래학교 혁신모델 하늘숲초등학교 가보니

이미지 확대
교육부가 2025년까지 추진하는 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활용 본보기로 꼽히는 서울하늘숲초등학교의 모습. 1~2층, 3~4층을 터서 조성한 솔빛길은 여러 학생이 모여서 쉬고 노는 광장 같은 공간이다.
교육부가 2025년까지 추진하는 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활용 본보기로 꼽히는 서울하늘숲초등학교의 모습. 1~2층, 3~4층을 터서 조성한 솔빛길은 여러 학생이 모여서 쉬고 노는 광장 같은 공간이다.
서울 구로구 천왕동 하늘숲초등학교에선 교실에 들어가려면 신발을 벗고 출입문 옆에 있는 신발장에 넣어 놓아야 한다. 교사도, 학생도 교실에서 맨발로 생활한다. 교실에 들어서면 4면에 모두 칠판이 붙어 있다. 학생들이 네 조로 나뉘어 수업을 듣다가 자기들끼리 칠판을 쓰며 토의하는 식으로 활용한다. 책상을 벽 쪽으로 모두 밀어서 붙이면 간단한 실내 체육 활동도 가능하다. 5·6학년 교실은 ‘이형 교실‘로 불린다. 창가 쪽에 길쭉한 삼각형 공간이 하나 더 있다. 건물 바깥에서 보면 툭 튀어나온 부분이다. 오수정 교육혁신부장은 “지금까지는 교사가 앞에서 가르치고 학생은 교사를 바라보는 식으로 수업을 진행했다면, 이 교실에서는 학생이 훨씬 더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복도 끝에는 이 학교의 상징으로 꼽히는 ‘솔빛길’이 있다. 1층과 2층, 3층과 4층을 각각 터서 만든 대형 공간이다. 박공형 지붕으로 두른 계단형 공간에는 앉아서 책을 볼 수 있는 쿠션이 놓였다. 학생들이 뛰어놀 수 있는 미끄럼틀, 창문으로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는 나무 집 등 다양한 시설이 어우러졌다. 다른 반 친구들과 자유롭게 놀거나 대화하고, 안전하게 뛰어다닌다. 최성희 교장은 “학생들이 재밌게 놀고 편하게 휴식하는 공간이며, 때로는 발표하고 토론하는 광장 같은 곳”이라고 소개했다. 실제로 지난해 4~6학년 학생들이 학급자치회를 연다는 포스터를 교내 곳곳에 붙이고 이곳에서 회의와 발표를 했다.

 학교를 둘러보면 카페처럼 꾸민 교무실을 비롯해 각 층 중간마다 있는 학년 교사별 연구실, 각종 조리실과 실험실 등 신경 써서 만든 곳이 곳곳에 있다. 최 교장은 “공간을 창의적으로 구성하고 활용하다 보니 학생들의 행동은 물론, 생각도 바뀌는 것 같다. 앞으로 학교는 천편일률적인 네모난 공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교육부가 2025년까지 추진하는 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활용 본보기로 꼽히는 서울하늘숲초등학교의 모습. 교실 창가에 삼각형 공간을 둬 무대나 쉼터로 활용하는 5·6학년 이형교실 내부.
교육부가 2025년까지 추진하는 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활용 본보기로 꼽히는 서울하늘숲초등학교의 모습. 교실 창가에 삼각형 공간을 둬 무대나 쉼터로 활용하는 5·6학년 이형교실 내부.
 하늘숲초등학교는 서울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 모델이자 서울교육청이 추진한 꿈담학교 1호다. 교육부 역점 사업 가운데 하나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40년 이상 노후한 학교를 미래지향적으로 바꾸는 사업이다. 공간혁신, 친환경, 스마트교실, 학교복합화, 안전을 핵심 요소로 삼았다. 지난해 3조 5000억원을 들여 484개교 702동을 선정해 기획과 설계를 추진했고, 올해부터는 이들 학교가 실제 공사에 들어간다. 올해 예산은 국비 5194억원, 지방비 1조 3000억원이다. 지난해 선정돼 설계가 완료된 학교부터 공사를 시작하고, 올해 518동을 추가 선정한다.
이미지 확대
 낡은 학교를 바꾸는 데는 이견이 없었지만 추진 과정에서 삐걱거리기도 했다. 서울은 지난해 14개교가 선정을 철회해 재선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공사가 진행되니 학생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손용남 서울시교육청 미래학교추진 과장은 “혁신학교에 대한 오해는 어느 정도 해소가 됐다. 다만 다년간에 걸친 사업이다 보니 장기간 공사에 따른 학생 피해를 걱정하는 학부모가 많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공사 기간에는 모듈러 공법으로 만든 건물에서 수업을 받는 탓에 서울 강남의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컨테이너 학교에서 수업해야 하느냐’면서 반대하기도 했다. 정종철 교육부 차관은 올해 계획을 지난달 발표하면서 “대상 학교 선정 과정부터 학교 모든 구성원의 사전 동의 절차를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면서 “동의 절차를 의무화하고 설명회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문건으로도 확인하도록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글·사진 김기중 기자
2022-02-16 22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