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동물질병관리원 4월 6일 이후 고병원 AI 발병없어
최대 발생한 2016년 겨울대비 야생조류 검출 3.6배 증가
당시 경험 토대로 방역 추진한 결과 가금류 피해 줄어
지난 겨울 역대 최대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의 발생이 종료됐다고 정부가 밝혔다.세계적으로 치명률이 높은 고병원성(H5N8형)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되면서 국내에서도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충남 서천 금강호에 찾아든 철새(큰기러기). 서울신문 DB
국내 고병원성 AI는 지난해 10월 28일부터 야생조류에서 234건이 검출됐고 가금류에서 109건이 발생했다. 야생조류 검출은 지난 1월 한달간 108건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 발생했던 2016년 겨울과 비교하면 야생조류(65건) 검출은 3.6배 증가한 반면 가금류(166건) 발생은 65.7% 수준으로 감소했다. 당시 경험을 토대로 가금류 방역을 강화하면서 확산을 차단했다는 평가다.
국내 고병원성 AI는 H5N8형으로,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 겨울 한파와 폭설로 수면이 얼면서 야생조류들이 좁은 지역에서 밀집한 상태로 서식했고, 먹이 부족으로 허약해지면서 집단 폐사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강원 철원(토교저수지)과 고성(송지호)에서는 기러기류, 경북 구미(지산샛강)와 경남 창녕(주남저수지)에서는 고니류 집단폐사가 많았다.
양 기관은 올 겨울에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재유행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선제적 대응으로 발생에 철저히 대비하기로 했다. 겨울 철새가 도래하기 전에는 시베리아와 몽골 등 국외 번식지에서 조기 감시 및 상시 감시에 나서는 한편 겨울 철새가 국내에 도래한 후는 주요 도래지와 AI 상습 발생지역 등을 핵심 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예찰 및 관리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 레이더와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해 야생조류 바이러스의 유입 경로를 밝히는 한편 동위원소와 유전체 유래 분석을 통한 발원지 추적 등 전문적인 대응을 추진하기로 했다. 노희경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은 “야생조류와 서식지 보호에 질병관리원의 역량을 결집하고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 기관과 신속·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 AI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