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녹조가 뒤덮인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인근 대청호에서 조류제거선을 탄 K-WATER(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지사 관계자들이 녹조제거작업을 하고 있다. 왼쪽으로는 녹조 저감을 위한 물 순환 장비인 수면포기기(왼쪽)가 가동되고 있지만, 녹조를 제거하기엔 역부족으로 보인다. 2021.7.28.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28/SSI_20210728165302_O2.jpg)
![28일 녹조가 뒤덮인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인근 대청호에서 조류제거선을 탄 K-WATER(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지사 관계자들이 녹조제거작업을 하고 있다. 왼쪽으로는 녹조 저감을 위한 물 순환 장비인 수면포기기(왼쪽)가 가동되고 있지만, 녹조를 제거하기엔 역부족으로 보인다. 2021.7.28.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28/SSI_20210728165302.jpg)
28일 녹조가 뒤덮인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인근 대청호에서 조류제거선을 탄 K-WATER(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지사 관계자들이 녹조제거작업을 하고 있다. 왼쪽으로는 녹조 저감을 위한 물 순환 장비인 수면포기기(왼쪽)가 가동되고 있지만, 녹조를 제거하기엔 역부족으로 보인다. 2021.7.28. 연합뉴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위성, 항공기, 드론에 탑재한 광학감지기를 활용해 녹조 상황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관련 정보를 ‘물환경정보시스템’(water.nier.go.kr)에 공개하는 등 여름철 녹조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녹조 원격 감시는 기존 항공기 초분광 영상 활용에 더해 유럽우주국(ESA)에서 운용하는 ‘센티넬-2’ 위성의 다분광 영상, 드론을 활용한 초분광 영상을 추가해 감시 빈도를 높이고 감시 공간을 넓힌다.
항공기 초분광 영상은 공간 해상도가 2m급으로 정밀하지만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는 등 악천후에서는 운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위성은 날씨 영향을 덜 받는다.
위성의 다분광 영상은 지표에서 반사되거나 복사되는 에너지를 약 10종의 파장으로 분류한다. 과학원 연구진은 지난해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물 환경 변화 예측 연구’를 통해 센티넬-2 위성 영상에서 녹조를 특정하는 파장만 골라내 녹조 원인 물질인 클로로필-a와 남조류의 피코시아닌 농도를 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항공 영상처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드론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새로 개발해 녹조 경보지점과 취수장 인근 등을 대상으로 다각적 녹조 감시를 시작했다. 녹조 원격 감시 영상은 촬영 후 2일 이내 제공되며 이번에 추가되는 위성과 무인기 영상은 15일부터 물환경정보시스템 내 물환경지리정보 서비스로 확인할 수 있다.
김용석 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장은 “올여름은 평년보다 덥고 강수량은 적어 녹조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여름 초기에 집중적으로 관측해 선제적 녹조 대응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