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멸종위기 야생동물 담비, 수달, 삵 희귀 활동 포착

멸종위기 야생동물 담비, 수달, 삵 희귀 활동 포착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9-08 11:02
업데이트 2022-09-08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공원 무인관찰카메라에 포착된 야생생물 모습 포착
국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 66%가 국립공원 내에서 서식

먹이를 찾는 담비들
먹이를 찾는 담비들 담비가 먹이를 찾고 있는 모습(2022. 2. 5. 지리산)

국립공원공단 제공
국립공원 곳곳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국립공원공단은 장난치는 수달, 먹이를 찾는 담비 등 다양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희귀한 활동 장면들이 국립공원 곳곳에 설치된 무인관찰카메라에 잡혔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무인관찰카메라에 포착된 생물들은 수달, 담비, 삵, 흰목물떼새 등이다.

지리산, 경주, 가야산, 덕유산, 무등산 국립공원 일대 멸종위기 야생생물 관찰 과정 중 무인카메라 8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과 Ⅱ급 담비, 삵, 흰목물떼새들의 서식 장면을 포착했다. 이번 영상들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찍힌 것들이다.

지리산 국립공원에서는 지난 4월 수달 2마리가 수상쉼터에서 장난치는 모습이 포착됐고 지리산 구례군에서는 먹이를 찾는 담비 3마리의 모습이 무인카메라에 찍혔다. 담비는 잡식성으로 쥐, 토끼를 비롯해 새, 나무 열매 등 다양한 먹이를 먹으며 국립공원 생태계에서 최상의 포식자로 군림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지리산 산청군 한 습지에서는 어미 삵이 새끼 삵에게 젖을 물리는 희귀한 장면이 찍혔다. 야행성 동물인 삵은 일반적으로 3월경에 짝짓기를 하고 60일 정도의 임신기간을 거쳐 새끼 2~3마리를 낳는다.

또 지난해 4월 경주 토함산지구에서는 담비 2마리와 삵이 서로를 경계하는 모습과 수달이 양서류로 추정되는 먹이를 잡아먹는 모습이 촬영됐다. 지난 6월 가야산 합천군에서는 담비 2마리가 통나무에 엉덩이를 문질러 채취를 남기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는 야생동물들이 본인의 존재를 알리고 자신의 영역을 알리는 전형적 행동이다.
장난치는 수달
장난치는 수달 장난치는 수달(2022. 4. 1. 지리산)

국립공원공단 제공
덕유산 무주군에서는 지난 1월과 4월 계곡 바위 위에서 수달 가족들이 무리지어 가는 모습과 장난치는 모습 등이 잡혔다. 이 밖에도 지난 3, 4월까지 무등산에서는 흰목물떼새의 짝짓기부터 새끼 부화까지 전 장면이 포착됐고, 7월에는 무등산 북산 일대에서 먹이를 물고 가는 삵의 모습이 카메라에 찍혔다.

한편 국내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총 267종으로 이 중 66%에 해당하는 177종이 국립공원 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곤충류가 92%, 조류가 86%, 양서·파충류가 75% 서식하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의 61.6%, Ⅱ급의 67.6%가 국립공원에서 사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이번에 포착된 영상은 멸종위기 야생생물들이 살아가는 일상의 모습과 생태적 습성 파악에 중요한 자료”라며 “국립공원이 멸종위기 생물들의 서식지로 안정적 역할을 하는 곳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런 서식지 보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