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산책길 퀘퀘한 악취 진동…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에 전국 해안 비상

[르포]산책길 퀘퀘한 악취 진동…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에 전국 해안 비상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4-05-18 07:57
업데이트 2024-05-18 07: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래·미역·쓰레기와 섞여 해변 쓰레기무덤으로 변해
수㎞ 갈색띠에 어싱하며 산책하던 주민들 불편 호소
제주·전남 해안 점령에 제주도· 해수부 비상체제 가동

이미지 확대
제주시 이호테우해수욕장에서 어싱하는 사람들이 해변을 점령한 괭생이모자반때문에 산책이 방해되자 모래사장쪽으로 걸어가고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제주시 이호테우해수욕장에서 어싱하는 사람들이 해변을 점령한 괭생이모자반때문에 산책이 방해되자 모래사장쪽으로 걸어가고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이미지 확대
이호테우해변으로 밀려드는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이 파래, 미역, 쓰레기와 뒤엉켜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이호테우해변으로 밀려드는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이 파래, 미역, 쓰레기와 뒤엉켜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이미지 확대
괭생이 모자반으로 잠식당한 이호테우해변의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괭생이 모자반으로 잠식당한 이호테우해변의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17일 이른 아침 제주시 이호테우해수욕장 모래사장에서 어싱(맨발걷기)하는 사람들이 바다에서 떠밀려온 갈색 불청객을 피하며 걷느라 비틀거린다. 일주일 전부터 떠밀려온 갈색 띠는 바로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 기자가 해수욕장 모래사장으로 들어설 때쯤 이미 시큼하고 비릿한 악취가 코끝에 전해져와 눈살을 찌푸렸다.

밀물 때마다 조금씩 떠밀려온 괭생이 모자반과 파래, 미역, 쓰레기까지 겹쳐 아름다운 해변은 온데간데 사라졌다. 마치 거대한 갈색 쓰레기더미가 수백m에 걸친 해변을 완전히 잠식하고 말았다.

산책하던 동네 주민 김 모씨는 “한동안 바다가 깨끗했는데 일주일 전부터 보이기 시작하더니 이젠 바닷속도 모래사장도 괭생이모자반으로 뒤덮여 바닷물에 발을 담글 수 조차 없게 됐다”며 “패들보드를 타는 풍경도 사라졌다”고 토로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말부터 동중국해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괭생이모자반이 제주도와 전남 가거도 인근 해상에서 발견됨에 따라 지난 2일부터 비상대응체제를 가동했다.

앞서 제주도는 3월말 이미 괭생이모자반 유입에 대비해 해양수산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괭생이모자반 상황대책반을 구성했다.

괭생이모자반은 갈조류 모자반의 일종으로 해상에 떠다는 해조류다. 암반에 붙어 자라다가 1~2월부터 바다 위를 떠 다닌다. 선박의 스크루에 감기거나 김 양식장 그물 등에 달라붙는 등 선박이동과 조업활동을 방해하는 주범이 되기도 한다. 해안가에 밀려와 방치되면 주변 경관을 해칠 뿐 아니라 악취까지 심해 주민생활의 불편을 끼치는 골칫거리 해양쓰레기로 돌변한다. 수거된 괭생이모자반은 농가의 비료나 거름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한계가 있다.

국내로 유입되는 괭생이모자반은 대부분 중국 연안의 암석에 붙어살다가 파도나 바람에 의해 떨어져 나간 것으로, 보통 3~6월 사이 발생하는데 2020년 제주 해안에서 수거한 괭생이모자반은 5851t에 달했다. 2021년에는 역대 최대 물량인 9755t을 수거했다.

반면 2022년부터는 해풍과 해류의 방향이 바뀌면서 거대한 괭생이모자반 띠가 동중국 해상에 머물러 502t, 2023년에는 414t으로 급감하기도 했다.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불청객이 다시 해안을 점령하기 시작한 셈이다.
이미지 확대
17일 이호테우해변에서 수거한 괭생이모자반이 현사포구 근처 방파제 높이 만큼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17일 이호테우해변에서 수거한 괭생이모자반이 현사포구 근처 방파제 높이 만큼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이미지 확대
17일 이호테우해변에 밀려온 괭생이모자반을 수거해 해변 한쪽에 산더미처럼 쌓아 올려져 있는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17일 이호테우해변에 밀려온 괭생이모자반을 수거해 해변 한쪽에 산더미처럼 쌓아 올려져 있는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이날 저녁때쯤 기자는 다시 이호테우해변을 찾았다. 그러나 아침과는 달리 가장자리를 뺀 해변 한복판에 있던 괭생이모자반은 다행히 행정기관과 바다환경지킴이들에 의해 신속하게 수거된 모양새였다. 산책하는 주민들과 관광객들을 위해 대부분은 치운 상태였다. 그러나 현사포구 방향으로 가보니 포구에 괭생이모자반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마치 바닷가 방파제 4m 높이 크기로 바닷가 한쪽을 점령한 모습에 산책나온 사람들이 입을 다물지 못할 정도였다.

포구 정자에 앉아있던 주민 양모씨는 “아직 반대편 해변에 수거하지 못해 모래사장에 남은 양도 많던데 이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밀려온 줄 몰랐다”며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한 지나가던 관광객은 코를 막고 발길을 돌려 오던 길로 다시 걸어가기 시작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괭생이모자반은 통상 1~2월에 유입되었는데, 올해는 다소 늦은 시기에 유입되었다”며 “유입량도 평년에 비해 적은 것으로 보이나, 양식장 등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만큼 유관기관, 지자체 등과 긴밀히 협력해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강 장관은 오는 23일 제주를 방문해 제주시 한림항 해양폐기물 수거 사업 현장을 점검할 예정이다.
글 사진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