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 방광 남자도 흔하다

과민성 방광 남자도 흔하다

입력 2011-07-04 00:00
업데이트 2011-07-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로 여성들의 배뇨장애 질환으로 인식돼 온 ‘과민성 방광’이 남성에게도 흔한 것으로 조사됐다. 과민성 방광은 방광이 지나치게 예민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방광 근육이 수축되면서 급박하게 요의를 느끼는 질환이다. 이는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빈뇨’, 갑자기 소변 욕구가 나타나는 ‘절박뇨’, 절박뇨 증상을 느끼면서 곧장 소변이 새는 ‘절박성 요실금’ 등으로 구분한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회장 이규성)는 국내 18세 이상 성인 남성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10%가 과민성 방광으로 진단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여성의 14%와 차이가 없는 수치다. 과민성 방광 유병률은 40대에 12.9%이던 것이 50대 16.1%, 60대 이상 23.7% 등으로 연령에 따라 급증세를 보여 60대 이상의 과민성 방광 유병률이 40대의 2배를 넘었다.

과민성 방광이 심각한 것은 대표적 남성 질환인 전립선비대증에 비해 삶의 질과 업무 생산성을 더 떨어뜨리면서 우울증 발현율도 높이기 때문. 학회 조사 결과, 남성 과민성 방광환자의 우울증 동반율은 23.6%로 정상인(7.4%)의 3배가 넘었으며, 전립선비대증환자(11.5%)의 2배가 넘었다. 또 과민성 방광으로 업무 생산성에 지장을 받았다는 응답자는 52.8%로 정상인(24.5%), 전립선비대증 환자(39.2%)의 응답률을 크게 상회했다.

그런가 하면 과민성 방광은 환자들의 성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과민성 방광 때문에 성생활 만족도가 낮아졌다고 응답한 환자가 전립선비대증 환자(10.6%)보다 많은 21.6%에 달했다. 그럼에도 과민성 방광 환자 중 전문 치료를 받는 환자는 12%에 불과했으며, 그나마 3개월 이상 치료받은 환자도 병원을 찾은 환자 10명 중 4명에 그쳤다.

이규성 학회 회장은 “과민성 방광을 단순히 나이 들어 생기는 전립선비대증 정도로 여겨 방치하면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면서 “비뇨기과 전문의의 진단을 거쳐 약물치료를 하면 빠르게 증상이 개선되는 만큼 조기에 병원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7-04 2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