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단풍의 세월

[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단풍의 세월

입력 2011-10-24 00:00
업데이트 2011-10-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른 오후의 가을볕이 산등성이 하나를 구워먹을 듯 달구고 있습니다. 기온은 뚝 떨어졌지만 한낮의 햇살은 여전히 따갑습니다. 벌써 단풍든 나무들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저 능선의 활엽수들은 이제 빠르게 제 몸을 달궈 마침내 단풍으로 익을 것입니다. 그런 조락이 또 한번 저 산을 휩쓸테지요. 휴일 낮 생각 없이 창가에 서서 바라본 남한산의 풍경입니다.

그날 저녁, 식탁에서 “만약 사람들이 죽지 않고 모두 살아남는다면 세상이 어떻게 될까?”라며 딸내미가 혼잣말처럼 뇌까립니다. 못 들은 척 밥을 먹으면서도 ‘정말 어떻게 될까.’라는 허튼 의문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답은 자명합니다. 그런 지옥이 없겠지요. 먼저, 질병이 떠오릅니다. 노인은 아무래도 질병에 취약합니다. 나이가 들면 자고 일어날 때마다 새 병이 생긴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한들 방법이 없습니다. 아무도 죽지 않으니 그저 고통 속에서 신음할 뿐이겠지요. 식량난은 또 어떻습니까. 그런 상황에서는 당연히 ‘목초지의 비극’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남편과 아내가, 형과 동생이, 할아버지와 손주가 아귀다툼을 벌이겠지요. 불어나는 인구, 특히 노인인구의 급증으로 온 세상이 노구로 가득 찰 것입니다. 그 틈새에서 아이들이 고개를 내밀어봤자 그들이 비집고 들어앉을 자리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이 대목에서 생명을 연장하려는 의학의 가치와 자연의 섭리가 충돌합니다. ‘태어나면 죽는다’는 자연의 섭리는 간단하지만 바뀌지 않습니다. 그런데 의학은 한사코 생명을 연장합니다. 단순하게 질병의 고통을 더는 차원이 아닙니다. 예전에는 벌써 죽었을 환자들이 말끔하게 털고 일어나 새 삶을 삽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는 노령화가 의학의 발전에 힘입었음은 다 아는 사실입니다.

비뇨기과 의사 한 분이 탄식을 합니다. 사연인 즉 70대 노인이 찾아와 “비아그라든 뭐든 내가 50대만 같았으면 좋겠는데, 무슨 방법이 없겠느냐.”며 막무가내로 떼를 쓰더라는 겁니다. 어디 그 노인뿐이겠습니까. ‘조금만 더’하고 소망하는 게 모든 사람의 마음일 테지요. 물드는 단풍을 보면서 섭리를 생각합니다. 살고,죽는 게 모두 섭리입니다. 섭리를 두고 어거지를 부리는 모습은 추해 보이기 쉽습니다. 떠날 때를 아는 순응의 미덕이 다시 저 산을 단풍으로 물들이기 시작하는 10월 어느 날.

jeshim@seoul.co.kr

2011-10-24 24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