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Weekly Health Issue] 사례로 본 화병 관리법

[Weekly Health Issue] 사례로 본 화병 관리법

입력 2012-07-23 00:00
업데이트 2012-07-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폭력·폭언 피해 50대 여성, 분노 다루기·약물치료로 급속 안정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원섭 교수는 얼마 전 “가슴에 덩어리가 있는 것 같다.”, “미칠 것만 같다.”는 한 여성 외래 환자(56)를 진료실에서 만났다. 자녀들과 동행한 그녀는 불안해 보였고 자기 삶을 무척 억울해했다. 사연이 있었다.

결혼 직후부터 남편의 상습적인 폭행과 폭언, 도박, 경제적 무능, 불성실한 가정 생활이 이어졌다. 자녀들이 자라 10년 전부터는 남편과 둘이 살고 있었다. 사업을 하는 남편은 생활비는 안 주면서 친구들에게는 선심 쓰듯 돈을 척척 빌려주곤 했다. 자녀들만 없으면 까닭 없이 폭언을 퍼부었고 그런 남편에게 걸핏하면 얻어맞아 평생을 전전긍긍 불안해하며 살았다. 이런 가운데 그녀는 평생을 “억울하다.”, “분하다.”며 가슴을 치고 살았고 분노감에 넋을 잃거나 가슴에 뭔가 치밀어 오르는 일이 잦아졌다. 그동안 이혼하자고 수없이 졸랐지만 남편은 들은 척도 안 했다.

면담을 하는 그녀의 표정에 불안감이 역력했고 더러는 억울함과 분노감에서 비롯된 격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녀는 “남편과 같이 있으면 숨이 막히는 것 같고 이혼을 해도 쫓아와 괴롭힐 것만 같다.”면서 “결혼 초기에는 가정을 지키기 위해, 어린 자식들을 위해 분노와 증오감을 감춘 채 오로지 순종만 했는데 그게 병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을 무시하는 듯한 남편의 언행을 접할 때면 인격체로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잠을 못 이룰 때도 많았다.”고 덧붙였다.

강 교수는 환자의 불안과 신체 증상이 심하다고 판단해 항우울제와 항불안제 등의 약물치료를 시도했다. 또 정신치료를 통해 환자의 고통스러운 경험과 남편에 대한 분노, 증오감 등을 제한 없이 표출하도록 했다. 가족치료를 통해 환자의 처지에 대해 가족들이 공감하고 지지하는 것은 물론 가정에 존재하는 분노를 야기하는 요인들에 대해 가족 구성원들이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는 점도 주지시켰다.

강 교수는 “이와 함께 적극적인 대외 활동에 나서 스트레스를 스스로 조절하게 했으며 종교를 가지라고 권해 지금은 빠르게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7-23 24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