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 궁금증 풀어드려요] 범인 식별·미끄럼 방지·충격 흡수… 지문의 기능은 다양해

[우리 몸 궁금증 풀어드려요] 범인 식별·미끄럼 방지·충격 흡수… 지문의 기능은 다양해

입력 2014-10-13 00:00
업데이트 2014-10-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0년 7월 부산의 한 오락실에서 30대 종업원이 흉기에 찔려 숨진 채 발견됐다. 범인의 흔적은 화장실 문에서 발견된 피 묻은 반쪽 지문이 유일했다. 당시 지문검색 시스템의 한계로 용의자를 특정하지 못했던 경찰은 2012년 3월 보완된 지문판독 시스템으로 지문을 재감정했고, 결국 12년 만에 범인을 잡을 수 있었다. 수십 년이 흘러도, 심지어 상처를 입어도 변하지 않고 일란성 쌍둥이마저 모양이 다른 지문의 특성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지문은 땀구멍이 주변보다 올라와 생긴 융선에 의해 형성된 줄무늬로, 임신 13주에 생기기 시작해 24주면 완성되고 그 모양이 일생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화상을 입어 피부가 벗겨지면 지문도 함께 없어질 수 있지만, 상처가 나으면 다시 원래 모양의 지문이 생긴다. 130여년 전 일본에서 의사로 활동한 영국인 헨리폴즈는 이런 지문의 특성에 착안해 범죄수사에 활용할 것을 최초로 건의했다. 발견과 필요에 의해 지문의 기능이 범죄수사에까지 확대됐지만 지문의 본래 기능은 손가락의 기능을 보완해 주는 것이다.

미국의 인류학자 니나 자블론스키는 저서 ‘스킨’(Skin·피부)에서 타이어의 홈 같은 원리로 지문의 미세한 굴곡이 마찰력을 강화해 물건을 잡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고 설명했다. 지문은 주로 원숭이·침팬지·오랑우탄 등 손을 사용하는 영장류에 있다. 신대륙 원숭이들은 손바닥과 발바닥뿐만 아니라 긴 꼬리 아랫면에도 ‘피문’이 있어 나뭇가지를 단단히 쥐고 매달리거나 다른 나무로 건너갈 수 있다. ‘피문’ 때문에 꼬리가 다섯 번째 손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마뱀이 벽을 올라갈 수 있는 것도 피부에 특수한 화학 접착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작은 돌기들이 실처럼 뻗어 있는 수천 개의 가시가 나 있기 때문이다. 자블론스키는 결국 지문도 물체를 잘 잡거나 나무를 잘 타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주장한다.

정 반대의 주장도 있다. 영국의 생체역학자 롤랜드 에노스 교수와 피터 워만 교수팀은 실제로 실험한 결과 지문 때문에 오히려 물체와 손 사이의 마찰력이 3분의1이나 줄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체와 닿는 면적이 넓을수록 마찰력도 커지는데, 융기된 지문이 먼저 물체에 닿아 상대적으로 지문이 없는 손보다 마찰력이 떨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실험과정에서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지 않아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하는 과학자도 있다.

이 밖에 지문이 촉각을 예민하게 하고,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10-13 25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