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돈 잘 벌겠네” “코로나 걸릴라”… 파견 간호인력 기죽인 소문들

“돈 잘 벌겠네” “코로나 걸릴라”… 파견 간호인력 기죽인 소문들

신융아 기자
신융아, 곽소영 기자
입력 2022-01-20 20:38
업데이트 2022-01-21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료현장서 2년, 말 못한 속내

대구·이천·대전 파견 유동훈씨
“각종 수당, 거의 다 숙박비로 써
다녀오면 친한 사람도 멀리해”

코로나 병동 2년째 현정식씨
“단기 파견 일관 땐 인력난 계속”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파견 간호조무사로 활동한 유동훈씨가 현장에서 일하는 모습. 유동훈씨 제공
코로나19 파견 간호조무사로 활동한 유동훈씨가 현장에서 일하는 모습.
유동훈씨 제공
2020년 2월 말 유동훈(41)씨는 대학 때 돈을 벌기 위해 땄던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갖고 서울에서 대구로 가는 KTX에 몸을 실었다. 코로나19 1차 대유행 발발 후 대구에 처음 생활치료센터가 문을 열자 곧바로 파견 의료인력에 지원한 것이다. 유씨는 의사, 간호사 업무를 보조하며 대구에서 꼬박 2개월을 보냈다.

유씨는 그해 연말 수도권 요양병원의 대규모 감염사태가 발생하자 이번엔 경기 이천으로 달려갔고 지난해 5월엔 대전 돌파감염 의료시설, 코호트 격리 요양병원 등에 파견 간호인력으로 지원해 활동했다. 하지만 현장은 당장 일손이 모자라 파견 인력을 받고서도 기본적인 지원조차 없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병원 근처 모텔에 짐을 풀고 생활했지만 이마저도 코로나19 의료 인력에 대한 기피 때문에 며칠 건너 옮겨 다닐 수밖에 없었다.

유씨는 20일 “위험 수당과 직분 수당이 붙어서 많은 돈을 버는 것 같지만 실은 대부분 숙박비로 나가기 때문에 정작 일하는 것에 비해 많지도 않다”면서 “다들 해야 하는 일이라 생각하고 묵묵히 했는데 24시간 방호복을 입고 생활하는 일이 힘든 데다 파견 의료진에 대한 인식까지 안 좋아지자 의료진이 도망가는 일까지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런데도 유씨는 이런 상황을 보면서 감염병 대응 전문 간호사가 돼기로 마음먹고 늦깎이 간호대학 학사 편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 만 2년이 되는 20일. 간호인력들은 어떻게 그 시간을 견뎌 왔는지 모르겠다고 입을 모았다.

24시간 방호복을 입은 채 코로나19와 싸우기도 버거운데 “돈 많이 벌어서 좋겠다”, “가까이 가면 감염되는 것 아니냐”는 주변의 불편한 시선도 이겨 내야 하는 게 힘들다고 토로하는 간호사도 많았다.

병원에 소속된 정규 간호사와 파견 간호사 사이의 처우 차이도 이들을 힘들게 하는 요인이다. 파견인력이 정규직에 비해 임금을 2~3배 더 받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간호사들 사이에서도 서로 파견직 지원을 권유하는 상황이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간호사로 일하다가 2차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9월 코로나19 병동으로 넘어온 현정식(28·가명)씨는 전반적으로 노동 강도가 과중해진 간호계 전체에 형평성 있는 정부 지원이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씨는 “코로나19 병동에서 일하는 간호사에게는 정부가 파견 수당을 지급하지만 파견 간 간호사의 공백을 메우고 있는 다른 간호사에 대한 지원은 없다”며 “같은 업무를 해도 생활치료센터 등에 계약직으로 갈 때의 수당이 더 높아 오히려 정규직을 그만두고 계약직으로 파견을 가는 간호사도 많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간호사가 병동에서 제 몫을 하려면 적어도 1년은 걸리는데 ‘곧 끝나겠지’ 하는 단기성 파견으로만 메운다면 인력난은 계속될 것”이라며 “앞으로 반복될 감염병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감염병 전담 병원을 만들고 장기적인 인력을 수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융아 기자
곽소영 기자
2022-01-21 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