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BA.4’, ‘BA.5’, ‘BA.2.75’…코로나19, 너의 이름은

‘BA.4’, ‘BA.5’, ‘BA.2.75’…코로나19, 너의 이름은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2-07-16 08:00
업데이트 2022-07-16 0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 바이러스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
코로나 바이러스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 미국 국립보건원(NIH) 제공
‘델타’, ‘오미크론’, ‘BA.4’, ‘BA.5’, ‘BA.2.75’…

최근 코로나19 오미크론변이의 세부 계통인 ‘BA.2.75’ 변이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다. 신화 속 반인반마 ‘켄타우로스’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정식 이름은 아니다. 그렇다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은 어떻게 구분해서 붙이는 걸까.

2020년 1월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이후 조금씩 변형된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등장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낙인이나 차별을 유발할 위험이 있는 국가명이나 지역명을 붙이는 대신 그리스 알파벳을 활용해 바이러스 이름을 붙인다. 영국에서 2020년 9월 발견된 알파, 베타, 감마, 오미크론 등 변이가 대표적이다.

요즘 전 세계에서 유행하는 변이 바이러스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들인데, 영어와 숫자를 결합한 유전적 계통명을 쓰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과 에딘버러대학이 주축인 연구팀(Pango)이 정한 규칙을 활용한다. 계통명은 A~Z, AA~AZ, BA~BZ 순으로 알파벳을 먼저 붙인다. 두자리 알파벳도 다 쓰면 AAA식으로 세자리 알파벳을 붙이게 된다. 다만 O나 I 같은 숫자와 헷갈리는 알파벳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알파벳 뒤 숫자로 변이 바이러스의 조상을 구분할 수 있다. ‘후손’을 뜻하는 마침표는 계통의 조상을 구분할 수 있을 때 쓴다. 최근 유행하는 BA.4나 BA.5는 모두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다. 이와 달리 BA.2.75는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렸던 BA.2의 하위 변이다. ‘75번째로 확인된 BA.2의 후손’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이름에서 드러나듯이 BA.2.75는 스텔스 오미크론과 비슷하지만 스파이크 단백질에 유전자 변이가 8개 더 많다. 국내에서 우세종이 되어가는 BA.5과 비교하면 돌연변이 부위도 다르다.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인체 세포에 침투하기 때문에, 이처럼 돌연변이가 생기면 전파력이나 돌파감염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만 BA.2.75는 아직 유행 초기이기 때문에 치명률 등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질병관리청은 BA.5는 ‘비 에이 오’, BA.4는 ‘비 에이 사’로 통일해서 부르기로 했다. ‘BA.2.12.1’는 ‘비에이 이 점 일이 점 일’이고, ‘BA.2.75’는 ‘비에이 이 점 칠오’이다.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