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거주 외국인 4분의1은 ‘천안 시민’

충남 거주 외국인 4분의1은 ‘천안 시민’

입력 2010-02-08 00:00
업데이트 2010-02-08 1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충남 최고 글로벌 도시는 천안”

충남도에 거주하는 외국인 네 명 가운데 한 명은 천안시에 산다는 통계치가 발표돼 외국인의 ‘천안 사랑’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7일 충남도와 천안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천안시의 등록외국인 수는 1만591명에 달한다.

 이는 도 전체 등록외국인 수(3만7천667명)의 28.1%에 해당하며,충남에서 등록 외국인 수가 가장 적은 도시인 계룡시(181명)와 비교하면 58.5배나 많은 수치다.

 천안시는 불법 체류자 등의 미등록 외국인까지 포함할 경우 시내 거주 외국인 수가 2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외국인들이 충남 16개 시.군 중 유독 천안에 많이 거주하는 이유는 뭘까.

 천안시 외국인지원팀의 황재선 씨는 “아무래도 일자리 때문일 것”이라고 답했다.충남의 대표적 ‘기업도시’로 꼽히는 곳이 천안,아산인 만큼 외국인들이 일자리를 찾아 자연스럽게 천안에 몰리게 됐을 것이란 분석이다.

 또한 시내에 9개의 4년제 대학이 자리잡고 있어 유학생이 몰리고 있는 것도 외국인 증가에 한 몫을 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말 현재 천안에 거주하는 등록 외국인의 66.4%에 해당하는 7천127명은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유학생(1천330명,12.4%)과 결혼 이민자(1천270명,11.83%)가 그 뒤를 이었다.

 시내 거주 외국인의 수가 2007년 8천786명,2008년 9천964명에 이어 2009년에 1만명을 넘어서는 등 해마다 늘자,천안시는 외국인 지원 정책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시는 지난해 7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설립,백석대학교에 위탁 운영을 맡겨 한국어 교육 및 식생활 교육,국적별 서포터스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같은해 12월에는 시내에서 외국인이 가장 많이 사는 서북구 성환읍에 다문화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작은 도서관’을 개관했다.

 이 도서관은 중국,태국,일본,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몽골,미국 등 국적별 전문 도서코너를 갖췄으며 한국어 학습을 위한 장소도 마련돼 있다.

 시는 또 다문화 가정 및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해 지난해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많이 재학하는 시내 4개 초등학교의 4·5·6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다문화 교실’도 운영했다.

 시는 ‘찾아가는 다문화 교실’에 대한 학생들의 호응도가 높아 올해는 대상 학교 수를 더 늘리고,대상 학년층도 저학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