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자들 “코로나19 확산 막기 위해서 휴교 등 봉쇄조치는 선택아닌 필수”
![코로나19 전염성 아이들도 예외 없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6/SSI_20200306102950_O2.jpg)
네이처 제공
![코로나19 전염성 아이들도 예외 없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6/SSI_20200306102950.jpg)
코로나19 전염성 아이들도 예외 없다
아동 청소년의 코로나19 전염가능성, 일명 감수성은 어른과 동일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네이처 제공
네이처 제공
이 같은 가운데 미국 존스홉킨스대 공중보건대, 중국 선전질병통제예방센터, 하얼빈공대 공동연구팀은 아동 청소년이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감수성)이 어른과 동일하다고 6일 밝혔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의학분야 출판전 논문공개 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 3일자에 실렸다.
지금까지는 10대 이하 아동청소년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도 심각한 증상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다른 연령대보다 훨씬 낮다고 알려져 있었다. 문제는 어린이 청소년이 감염되지 않았기 때문인지 실제로 효과적으로 바이러스를 물리쳤기 때문인지는 불분명했다.
연구팀은 지난 1월 14일부터 2월 12일까지 코로나19에 감염된 확진환자 391명과 이들과 접촉한 밀접접촉자 1286명을 추적해 분석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에 노출됐던 10세 미만의 어린이들은 다른 연령대와 동일한 감염률을 보였으며 밀접접촉 아동의 7~8%가 코로나19 양성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가족 중 일부가 바이러스에 감염돼 밀접접촉을 하게되면 다른 상황에서 밀접접촉했을 때보다 감염가능성은 6배 가량 높아지는 것이 확인됐다.
저스틴 레슬러 존수홉킨스대 교수(전염병학)는 “어린이들이 감염될 가능성은 어른과 같지만 중증 상태로 옮겨갈 가능성은 낮다”라면서 “아이들이 바이러스를 다른 사람에게 쉽게 전염시키는 통로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라고 말했다.
레슬러 교수를 포함한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휴교와 같은 봉쇄조치가 바이러스 확산을 늦출 수 있는 만큼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홍콩대 전염병학자 벤 코울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아동 청소년들이 코로나19 감염에 성인들만큼 취약하다는 첫 번째 명백한 증거”라면서도 “학교에서 발병 사례가 관찰되지 않았다고 해서 아이들이 코로나19에 쉽게 감염되지 않는다고 결론내릴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휴교령이 아동, 청소년 사이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 전염병학자들의 공통적 의견이다.
![코로나19 어린이 감염가능성 어른만큼 높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6/SSI_20200306103123_O2.jpg)
![코로나19 어린이 감염가능성 어른만큼 높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6/SSI_20200306103123.jpg)
코로나19 어린이 감염가능성 어른만큼 높아
존스홉킨스대 전염병학자 케이틀린 리버스 교수의 트위터. 리버스 교수는 코로나19 확산 막기 위해서는 휴교령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