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 많던 꿀벌은 다 어디 갔을까

그 많던 꿀벌은 다 어디 갔을까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3-25 01:46
업데이트 2022-03-25 0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봄철 꿀 수확기를 앞두고 꿀벌의 겨울잠을 깨우려 벌통을 열었다가 놀라는 양봉 농가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충북과 남부지방, 제주를 시작으로 강원 지역까지 전국 곳곳에서 꿀벌이 집단으로 사라져 버린 사건이 벌어지고 있다.

●수확기에 전국 78억 마리 사라져

농촌진흥청과 한국양봉협회 추산으로 전국의 꿀벌 중 약 18%가 사라졌다. 벌통 하나에 벌이 평균 약 2만 마리가 있다는 걸 감안하면 봄철 꽃가루 채집에 나서야 할 꿀벌 약 78억 마리가 실종된 것이다. 꿀벌 실종의 가장 큰 원인은 기후변화, 살충제 사용, 그로 인한 면역력 저하로 추정되고 있을 뿐이다.

●해충 꿀벌응애·이상기후 등 원인

지난 13일 농촌진흥청이 발표한 월동벌 피해 합동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꿀벌 실종 사건의 ‘주범’은 지난해 발생한 해충인 꿀벌응애와 천적인 말벌이며 여기에 이상기상이라는 환경적 요인까지 겹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지난해 9~10월 발생한 이상 저온현상으로 꿀벌 발육이 저하됐고 11~12월에는 이상고온으로 월동을 시작한 일벌들이 꽃가루를 채집하러 나가면서 체력이 소진된 상태에서 벌통으로 돌아오지 못한 현상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또 일부 농가에서 꿀벌응애를 막기 위해 기존보다 최대 3배 이상 많은 살충제를 사용한 것도 집 나간 꿀벌의 방향감각을 잃게 만드는 등 악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美·유럽 일부선 40%이상 멸종 위기

사실 꿀벌 실종 사건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의 경우 2020년 4월부터 2021년 4월까지 1년 동안 전국에서 45.5%의 꿀벌이 사라졌고 유럽은 50년 전과 비교해 벌의 개체수가 37%나 줄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40% 이상의 벌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통계까지 나오고 있다.
유용하 기자
2022-03-25 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