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계는 지금]
![별의 탄생 실험실에서 구현하는데 성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7/SSI_20220417202058_O2.jpg)
NASA 제공
![별의 탄생 실험실에서 구현하는데 성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7/SSI_20220417202058.jpg)
별의 탄생 실험실에서 구현하는데 성공
과학자들이 분자운이 초신성 폭발이라는 외부요인에 자극받아 별이 만들어지는 장면을 재현했다.
NASA 제공
NASA 제공
우주에는 가스, 플라스마, 우주먼지가 모인 성간운이 있다. 이 중 분자 상태로 모여 있는 것을 분자구름(분자운)이라고 한다.
분자운은 초신성 폭발 같은 외부 자극으로 새로운 별을 만드는데 지금껏 관찰된 적이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거품 공(분자운)에 고출력 레이저(초신성 폭발)를 쏴 새로운 덩어리(새로운 별)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022-04-1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