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죽음이 남긴 과제

그의 죽음이 남긴 과제

입력 2010-02-08 00:00
업데이트 2010-02-08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주의사 부족… 아찔한 순간 지금도

임수혁은 2000년 4월18일 잠실구장에서 2루 주자로 서 있다 호흡곤란으로 쓰러졌고, 끝내 일어서지 못했다. 빠른 대처가 있었다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다. 임수혁은 심폐소생술이 늦어 한동안 뇌에 산소가 전달되지 못했다. 당시 잠실구장엔 응급처치할 수 있는 의료진도, 병원으로 부리나케 달려갈 구급차도 없었다.

임수혁 사고는 민사조정 사건으로 넘어가 2003년 7월 서울지법 동부지원에서 강제조정이 이뤄졌다. 당시 경기를 치렀던 두 구단(롯데, LG)이 4억 2600만원의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결정이었다. LG가 이의신청을 했고 결국 3억 3000만원의 보상금에 합의했다.

이후 프로야구를 비롯한 각 프로스포츠 구단들은 자체적으로 응급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기울였다. 각 구장에는 응급치료 요원과 구급차가 의무적으로 배치됐다. 하지만 의사가 경기장에 상주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프로야구에서는 KIA가 유일하다.

아찔한 순간은 지금도 계속된다. 지난해 4월26일 잠실구장. 당시 한화 김태균(지바 롯데)이 두산 포수 최승환과 홈베이스에서 충돌, 땅바닥에 크게 뒤통수를 찧었다. 이종욱(두산), 이택근(LG) 등의 충돌사고도 이어졌다.

현재 잠실구장 응급구호단은 자동 제세동기와 휴대용 산소통, 심전도 모니터 등 기본장비를 갖췄다. 관건은 얼마나 빨리 선수에 접근하느냐다. 응급차가 들어오는 동선에게 행사용품이 쌓여 있거나 일반차량이 주차돼 있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현실은 완벽한 응급체계와는 거리가 멀다. 김성근 SK 감독은 “프로야구 관중 600만명 돌파도 중요하지만 응급의료체계, 부상 방지시설 등 기본을 살피는 게 우선이다.”라고 꼬집었다. 임수혁의 죽음이 헛되지 않으려면 그라운드로 눈을 돌려야 할 때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0-02-08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