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선수권] 한·일 감독 누가 설날무덤?

[동아시아선수권] 한·일 감독 누가 설날무덤?

입력 2010-02-13 00:00
업데이트 2010-0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허정무-오카다 14일 물러설 수 없는 한판

운명도 얄궂다. 곤경에 놓인 한·일 국가대표팀 ‘재수 사령탑’이 맞닥뜨린다. 하나 또는 최악의 경우 둘 모두 울 수 있다.
이미지 확대


허정무(55) 감독과 오카다 다케시(54) 감독이 14일 오후 7시15분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동아시아연맹 축구선수권 대회마지막 한판을 벌인다. 이들은 앞서 중국과 겨뤄 졸전을 펼친 끝에 나란히 경질론까지 겪은 터라 모든 것을 쏟아부어야 한다.

한국은 A매치 역사상 32년만에 처음으로 중국에 패배의 굴욕을 맛봤고, 일본 역시 득점 없이 무승부를 거두며 뿔난 팬들의 비난에 시달렸다. 두 감독은 막말까지 들으며 경질에 대한 압박을 받았다. 비약이지만 바람 앞의 등불 신세와 같다.

역사적으로 한·일전은 패배 팀 감독의 무덤이었다. 더욱이 2010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을 4개월 앞둔 터여서 기대 이하의 실력을 보여주는 대표팀은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밖에 없다. ‘아시아 3류’로 분류됐던 중국이 마지막 홍콩과의 경기에서 무난히 승리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승권에서 멀어진 두 나라는 성적과는 무관하게 여느 때보다 피튀기는 일전을 벌이게 됐다.

지금까지 한국은 일본과 1954년 3월7일 도쿄에서 열린 스위스 월드컵 예선(5-1승)을 시작으로 56년간 70차례 싸웠다. 38승20무12패. 초창기에는 절대적인 우세를 이어갔지만, 1990년대 이후 맞붙은 경기부터 패배가 많아졌다.

2000년 이후 치른 8경기에서도 2승4무2패로 대등한 양상을 보였지만 최근 4경기에서는 2무2패로 열세를 기록 중이다. ‘숙명의 맞수’ 일본과의 71번째 맞대결은 상황에 따라서는 두 감독의 자격논란을 부를 게 뻔하다. 월드컵을 코앞에 둔 시점에서 이런 논란이 ‘영양가’는 없더라도 치명적 상처라는 점도 분명하다.

선수로서는 허 감독이 화려했다. 미드필더였던 그는 1974~1986년 대표팀에 몸담으며 84차례 A매치에서 25골을 터뜨렸다. 끈질긴 근성으로 ‘진돗개’라는 별명을 얻었고 네덜란드 명문 에인트호번에서 3시즌을 뛰는 등 1970~1980년대 한국의 간판 스타였다. 허 감독과 비슷한 시기인 1980~1985년 대표팀에서 수비수로 뛴 오카다 감독은 ‘공부하는 선수’였지만 A매치 24차례 1골뿐이었다. 명문 와세다대를 졸업한 그는 체구도 작고 스피드도 떨어졌지만 상대 공격의 변화를 즉각 분석하고 대응하는 지능적인 플레이를 뽐냈다.

두 번째씩 대표팀을 맡았다는 점은 닮았다. 한 번씩 실패했다는 이야기도 된다. 이번엔 ‘삼세판’인 셈이다. 허 감독은 1998~2000년, 오카다는 1997~1998년 팀을 이끌다 성적 부진으로 물러났다.

허 감독은 일전을 이틀 앞둔 12일 “월드컵을 위한 실험을 거의 마쳤기 때문에 1~2명을 빼고는 새롭게 나오는 선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카다 역시 “우승을 원하기 때문에 한국전엔 최정예 멤버를 내보내겠다.”고 맞받아쳤다. 둘은 2008년 2월 중국 충칭에서 열린 동아시아대회에서 딱 한번 겨뤄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02-13 2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