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42초04… 내겐 너무 가까운 400m

3분42초04… 내겐 너무 가까운 400m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반·막판 스퍼트로 男자유형 400m 두 번째 우승

‘마린보이’ 박태환(22·단국대)의 시작은 불안했다. 24일 오전 중국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수영선수권대회 남자 자유형 400m 예선에서 6조에 속한 박태환은 3분 46초 74로 레이스를 마쳐 전체 7위로 8명이 겨루는 결승에 턱걸이로 올라갔다.

이미지 확대
24일 중국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11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자유형 400m에서 1번 레인에 배정받은 박태환이 경쟁자들을 신경쓰지 않고 힘차게 물살을 가르고 있다. 상하이 연합뉴스
24일 중국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11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자유형 400m에서 1번 레인에 배정받은 박태환이 경쟁자들을 신경쓰지 않고 힘차게 물살을 가르고 있다.
상하이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박태환은 당초 중간 레인 선수들을 견제하며 경기를 운영할 수 있는 2번이나 6번 레인을 노렸지만 1번 레인을 배정받았다. 박태환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을 딸 때 3번 레인에 섰다. 당시 2번에는 그랜트 해켓(호주), 4번에는 라슨 젠슨(미국)이 자리잡았다. 박태환은 해켓을 목표로 두고 페이스를 조절하면서 금메달을 따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도 같은 전략을 썼다. 예선에서 전체 5위를 기록, 2번 레인에서 출발해 중간 레인에 몰린 쑨양, 장린(이상 중국), 마쓰다 다케시(일본)를 한꺼번에 견제하며 우승했다.

그러나 1번 레인은 처음이었다. 중간 레인 선수들이 일으키는 물결에다 수영장 벽면을 부딪치고 돌아오는 물결의 저항을 받아 불리한 곳이다. 뚜껑을 열어보니 걱정은 기우였다. 출발을 알리는 총소리가 들리고 0.67초 만에 박태환은 물에 뛰어들었다. 8명 중 가장 빨랐다. 레이스 초반부터 박태환은 무섭게 몰아붙였다.

첫 50m 구간에서 25초 72를 기록해 1위로 뛰어올랐다. 순간 스피드가 좋으니 레이스 중반 이후 스퍼트를 내리라는 안팎의 예상과는 다른 경기 운영 방식이었다. 다른 선수들을 견제하기 쉽지 않은 1번 레인에 배정받았기 때문에 전략을 급히 수정한 것. 마이클 볼(호주) 코치는 400m를 100m씩 나눠 ‘53-55-55-54’를 주문했고, 박태환은 53초 73, 57초 29, 56초 77, 54초 55로 처음과 마지막 구간을 볼 코치의 전략에 맞췄다. 쑨양과 파울 비더만(독일)이 초반에 치고 나올 가능성도 고려했다. 100m를 돌 때 53초 73, 150m에서는 1분 22초 24로 계속 1위를 고수했다.

이미지 확대
아찔한 순간도 있었다. 200m 구간에서 1분 51초 02로 야닉 아넬(프랑스)에게 0.06초 차로 1위 자리를 내준 뒤 250m에서 4위까지 처진 것. 하지만 격차는 0.22초로 크지 않았고 300m 구간에서 2분 47초 79로 다시 1위로 올라온 뒤 선두 자리를 고수했다. 쑨양을 1초 20, 비더만을 2초 10차로 멀찌감치 따돌리며 1번 레인의 불리함을 극복하고 기적을 연출했다. 쑨양은 경기 후 “박태환을 따라잡을 수 없었다. 1번 레인에 있어서 견제하기가 어려웠다.”고 했다. 예선의 부진으로 1번 레인에 배정받은 것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된 셈.

박태환의 기록은 지난해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세운 한국신기록(3분 41초 53)보다 0.51초 뒤진 3분 42초 04다. 비더만이 2009년 로마 대회에서 세운 세계신기록(3분 40초 07)보다 1.97초 뒤진다. 그러나 비더만의 기록은 전신수영복을 입고 작성된 것. 이번 대회는 FINA가 전신수영복을 규제하고 나서 처음 열린 국제대회라 박태환의 기록은 의미가 크다. 내년 런던올림픽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대회 초반이 잘 풀려야 끝까지 좋은 성적을 유지하는 박태환의 ‘징크스’가 있는 만큼 남은 자유형 200(25일 예선 26일 결승)·100(27일 예선 28일 결승)m에서도 또 다른 금메달을 기대하게 하는 마중물의 의미도 있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1-07-25 2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