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호, 내년 국내프로야구 입단 가능할까

박찬호, 내년 국내프로야구 입단 가능할까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15: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O “8월 중 FA 자격 얻어 신인드래프트 신청해야 가능”

일본프로야구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뛰는 오른손 투수 박찬호(38)가 내년 한국에서 뛰고 싶다는 바람을 나타내 귀추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박찬호 연합뉴스
박찬호
연합뉴스
박찬호는 최근 스포츠월간지 ‘스포츠온’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갈 수 있는 곳은 (프로야구) 한화다. 고향팀에서 뛰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작년 메이저리그 생활을 청산했을 때 가장 가고 싶은 곳은 한국이었다. 그러나 절차상 문제가 있어 일본리그를 선택했다”고 먼저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어 “내년에도 한국에서 원치 않으면 갈 수 없다. 한화가 날 데려가는 과정도 쉽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이런 문제가 해결된다면 당장 내년 한국에서 뛰고 싶다”고 간절한 바람을 드러냈다.

하지만 한국야구위원회(KBO) 규약상 박찬호가 내년에 한화 유니폼을 입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현행 KBO 규약에 따르면 1999년 이전 해외에 진출한 선수가 한국프로야구에 데뷔하려면 무조건 신인 드래프트를 거쳐야 한다.

박찬호는 한양대 재학중이던 1994년 미국 LA 다저스와 입단 계약했다.

정금조 KBO 운영팀장은 “먼저 박찬호가 오릭스에서 자유계약선수로 풀려야 하고 둘째 박찬호가 KBO에 직접 내년 신인 드래프트에 참가하겠다는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한화가 ‘특별 지명권’을 행사해 8월25일 열리는 신인 드래프트에서 박찬호를 뽑아야 박찬호의 소원이 이뤄진다.

먼저 첫 단계부터 쉽지 않다.

지난해 12월 오릭스와 1년간 연봉 120만달러, 옵션 100만달러 등 총 220만달러에 계약한 박찬호는 올해까지는 오릭스 유니폼을 입고 뛰어야 한다.

박찬호가 구단에 먼저 자유계약선수로 풀어달라고 요청해 오릭스 구단이 이를 수락하거나, 오릭스 구단이 박찬호를 알아서 방출하지 않는 이상 박찬호는 계약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설령 박찬호가 방출돼 KBO에 드래프트 참가 신청서를 내더라도 한화가 올해 드래프트에서 소중한 신인 1라운드 지명권을 박찬호에게 쓸지는 미지수다.

박찬호는 메이저리그에서 아시아 투수로는 최다인 124승을 거뒀고 첫 ‘코리안 메이저리거’라는 상징적인 선수다.

그러나 내년이면 한국 나이로 마흔에 이르는데다 젊은 선수 위주로 전력을 재편 중인 한화가 박찬호에게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 만한 형편도 못 되는 게 사실이다.

문제가 여기서 끝나는 건 아니다.

박찬호가 오릭스에서의 생활을 마무리하고 내년 한국에 온다면 KBO 규약에 따라 2013년 신인 드래프트에 나서야 한다.

박찬호로서는 금쪽같은 1년을 무적 선수로 보내야 한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한국프로야구의 흥행을 위해 KBO 이사회에서 박찬호가 국내 구단에 입단할 수 있도록 ‘특별규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특정인을 위해 규정을 바꿔서는 안된다는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KBO의 고위 관계자는 “현재로선 KBO 규약대로 박찬호 복귀 문제를 풀어갈 것이다. 여론의 향배를 주의 깊게 지켜보겠지만 규약 개정과 관련한 사안은 이사회에서 판단할 몫”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