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수 “러시아로 온 내 선택, 틀리지 않았다”

안현수 “러시아로 온 내 선택, 틀리지 않았다”

입력 2014-02-15 00:00
업데이트 2016-08-10 1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힘든 8년 보상받았다는 생각에 눈물…남자 쇼트트랙 최초 4번째 金 기뻐”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부활한 ‘쇼트트랙 황제’ 안현수(29·러시아명 빅토르 안)는 러시아로 귀화한 자신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걸 보여준 것에 대해 가장 큰 기쁨을 표현했다.

안현수는 15일 러시아 소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에서 열린 남자 1,000m 경기를 마치고 “부상 때문에 운동을 그만두고 싶지 않은 마음에 최대한 좋은 환경을 찾아 러시아로 왔다”면서 “그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걸 보여줘서 뜻 깊다”고 소감을 밝혔다.

2006년 토리노 올림픽에서 태극마크를 달고 3관왕에 오른 안현수는 이후 부상과 소속팀의 해체, 대한빙상경기연맹과의 갈등 등 우여곡절을 겪다가 러시아로 귀화했다.

소치 올림픽 개최국인 러시아 국기를 달고 이번 올림픽에 출전, 1,500m에서 동메달을 목에 건 데 이어 이날 1,000m에서는 금메달을 따는 감격을 누렸다.

이로써 그는 남자 쇼트트랙 선수로는 최초로 4개의 올림픽 금메달을 보유하게 됐다.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고서 빙판에 무릎을 꿇은 채 눈물을 쏟은 안현수는 지난 8년의 세월이 스쳐갔다고 털어놨다.

그는 “첫 메달을 따고 나서도 이를 악물고 눈물을 참았다”면서 “8년 동안 이 순간을 바라봤고, 금메달을 따고 기쁨을 누려보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8년 동안 너무 힘든 일이 많았기에 그에 대해 보답 받았다는 생각에 눈물을 흘렸다. 말로는 다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이라며 가시지 않은 기쁨을 표현했다.

안현수가 러시아에서 부활한 요인으로 꼽은 것은 “한국과는 다른 ‘맞춤형’ 관리와 훈련”이었다.

그는 “큰 부상을 한 번 당하고서 무릎 통증을 갖고 있는데 러시아에서는 그 상태에 맞춰서 훈련할 수 있었다”면서 “체력적인 부담이 있기에 단거리 위주의 훈련을 많이 하면서 한국에 있을 때보다 500m 기량도 더 좋아졌다”고 말했다.

이번 올림픽에서 안현수는 ‘부활’을, 러시아는 ‘쇼트트랙 복병’의 지위를 얻었다.

소치 올림픽 전까지 러시아는 쇼트트랙에서 단 하나의 메달도 따지 못했으나 이날 1,000m에서 금·은메달을 석권했다.

자신이 합류하면서 러시아가 강해진 것이 아니냐는 러시아 기자의 질문에 안현수는 “러시아 선수들의 실력은 제가 처음에 왔을 때도 예상보다 좋았다”면서 “서로 훈련하면서 배웠기에 좋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러시아 스태프들과 팀 동료가 제가 힘들고 어려울 때 많은 힘이 돼줬다”면서 “계주에서 다 같이 메달을 따 웃고 싶다”고 남은 대회 목표도 밝혔다.

‘러시아의 빅토르 안’으로 출전했지만 이날 그는 경기를 마치고 함께 결승 레이스를 펼친 신다운(21·서울시청)과 포옹을 하며 동료애를 과시했다.

안현수는 이에 대해 “승부를 떠나서 후배들도 많이 힘들었을 것”이라면서 “목표를 위해 서로 경쟁하는 것이지 원망하고 미워하는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승부의 세계를 마치고 서로 고생했다는 마음에 포옹했다”면서 “후배들이 이런 점에 신경을 쓰게 돼 미안하고, 서로 잘 마무리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한편 그는 “러시아에 계속 살 것인가”, “한국에서는 대통령까지 나서서 귀화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이 자리에서 다 말씀드리기는 얘기가 길어질 것 같다”면서 “올림픽이 끝나고 다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