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부른 한국 야구, WBC 참사 불러”

“배부른 한국 야구, WBC 참사 불러”

입력 2017-03-12 23:10
수정 2017-03-13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전 지향 탓 전투의욕 사라져” 일본 스포츠매체 ‘뼈아픈 지적’

“아무래도 헝그리 정신이 아쉬웠던 게 아닌가 싶다.”

“그런 시절과는 거리가 멀어졌고 요구할 수도 없다.”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피눈물을 흘린 한국 대표팀을 둘러싸고 이런 이야기가 1라운드에서 탈락한 지 사흘째를 맞은 12일까지도 심심찮게 나돈다. 형편이 나아졌다고 어려웠던 시절 헝그리 정신을 발휘할 수 없지는 않다는 아쉬움을 말한다. 한국은 2연패로 다음 대회 본선행 희망마저 꺼져 가다 막판 대만과의 경기에서 마무리 오승환(35·세인트루이스)의 호투로 겨우 1승을 건졌다.

일본 스포츠 매체 ‘웹 스포티바’는 지난 11일 ‘KBO리그 융성으로 몰락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한국 야구가 나아갈 방향을 잃어버렸다”는 게 핵심이다. 한국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 우승, 2009년 WBC 준우승으로 세계를 놀라게 했다. 매체는 이어 “당시 속도·파워라는 뚜렷한 장점을 뽐내며 강력한 무기로 국제대회를 사로잡았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그뿐이었다. 매체는 “세대교체를 제대로 못 이뤘고 잠재력을 갖춘 선수를 키우는 데도 실패했다”고 덧붙였다. 그나마 재능 있는 선수는 ‘좋은 대우’라는 미끼 때문에 싸울 의욕마저 잃는 악순환에 빠졌다고 봤다.

올해 KBO리그 1군 선수들의 평균 연봉은 2억 4000만원이다.

‘웹 스포티바’는 “이쯤이면 (한국 선수가) 외국인으로 굳이 일본에 가지 않고, 다치지만 않으면 한국에서 고생 없이 생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저절로 ‘안전 지향’의 선수가 늘었다. 국제무대에서 ‘무리하더라도 열심히 하자’는 마음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고 지적했다. 취재기자는 “오래전부터 KBO리그를 지켜봤는데 언제부턴가 재미를 잃었다”고 썼다. 똑같이 홈에서 B조 1위(3승)를 꿰찬 일본 대표팀 ‘사무라이 재팬’과 대조된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03-1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