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육상 붐 조성… 문화축제의 場 만들것”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육상 붐 조성… 문화축제의 場 만들것”

입력 2011-07-08 00:00
업데이트 2011-07-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범일 대구시장 인터뷰

“역대 최고의 완벽한 대회로 치를 것입니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대회가 50일 앞으로 다가왔다고 생각하니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그동안 준비해 온 모든 사항들을 최종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특히 산발적이던 홍보를 한 곳에 집중하고 전국적인 육상 붐 조성을 위해 힘을 쏟겠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김범일 대구시장
김범일 대구시장


→대회 개막이 꼭 50일 남았다. 붐 조성을 위한 방안은.

-홍보가 중요하다. 우선 방송과 신문 등 언론을 통해 홍보에 나서겠다. 출발드림팀, 런닝맨 등 TV 인기 예능프로그램과 아이돌스타 등도 적극 활용하겠다. 주요 포털사이트에 ‘대세육상’ 캠페인을 실시하고 경품이벤트, 공식주제가 UCC 게시 등을 추진하겠다. 육상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육상이야기 등을 많이 발굴해 알리겠다. 이 밖에 D-30일을 전후해 대형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다.

→역대 대회와 다른 점이 있다면.

-가장 큰 특징은 최대 규모로, 그리고 최고 명품대회로 치른다는 것이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지난 4월 26일까지 온라인 예비 참가 신청 결과 202개 회원연맹국에서 선수 2452명이 등록했다. 이는 201개 회원연맹에서 선수 1984명이 참가해 최대 규모였던 지난 베를린대회를 넘어서는 것이다. 트랙과 대형 전광판, 음향시설 등도 역대 대회중 가장 뛰어나다. 선수촌은 최고의 편의시설을 갖췄다. 치안은 세계 어느 도시보다 안전하다. 주경기장은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등 친환경대회, 경제적인 대회로 기록될 것이다.

→개최도시 대구에는 어떤 도움이 되나.

-대구의 브랜드 가치가 급상승할 것이다. 대회를 전 세계 80억명 이상이 TV를 통해 시청하는 만큼 ‘대구’는 1000번 이상 노출될 것이고 그 효과는 50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다. 경제적 파급효과도 상당하다. 대구경북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5조 5876억원의 생산유발과 6만 2841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부가가치도 2조 340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단장한 대구스타디움, 정비된 마라톤 코스와 도시 인프라 등도 대구의 큰 자산이다. 육상진흥센터가 완공되면 아시아의 육상메카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각국 응원단이나 관광객도 많이 찾을 텐데.

-모든 방문객들이 아름답고 소중한 추억을 가지고 돌아갈 수 있도록 문화축제, 관광 분야에 세심하게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볼거리 및 즐길거리를 제공하고 대구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문화축제의 장을 마련하겠다.

→대구시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대회의 성공은 국민들의 관심에 달려 있다. 비인기 종목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경기장을 적극 찾아 주길 바란다. 지난 베를린 대회보다 입장권 가격을 대폭 낮춘 것도 국민 참여를 늘리기 위해서다. 또 월드컵축구처럼 전국 곳곳의 응원 분위기도 필요하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1-07-08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