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색탄환 힘의 원천은 ‘눈물 모정’

흑색탄환 힘의 원천은 ‘눈물 모정’

입력 2010-02-19 00:00
업데이트 2010-02-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흑인으로 성공하려 말고 한 인간으로 더 잘 뛰겠다 생각해라” 데이비스 빙속 1000m 2연패

“평생 뒷바라지한 어머니 은혜를 갚기 위해서라도 더 빨리 뛰어야만 했습니다. 당신은 한순간도 스스로를 앞세우지 않았어요. 아들이 늘 먼저였죠. 그런 어머니에게 내가 성공하리라는 확신을 심어 드려야겠다고 마음을 다잡았습니다.”

이미지 확대
샤니 데이비스가 18일 밴쿠버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1000m 결승에서 입을 앙다문 채 힘차게 코너를 돌고 있다. 밴쿠버 AP 특약
샤니 데이비스가 18일 밴쿠버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1000m 결승에서 입을 앙다문 채 힘차게 코너를 돌고 있다.
밴쿠버 AP 특약


18일 밴쿠버 동계올림픽 남자 스피드스케이팅 1000m에서 1분08초94로 2연패를 일궈 톱랭커 면모를 뽐낸 ‘흑색 탄환’ 샤니 데이비스(28·미국)는 이렇게 말했다.

●트럭운전·일수대출 받아 뒷바라지

흑인으로서는 아주 드물게 성공 스토리를 남긴 스케이트 인생엔 어머니 체리 데이비스(53)의 희생이 있었다. 데이비스는 “어머니는 내게 ‘흑인으로 성공하려고 할 게 아니라 항상 한 인간으로 더 잘 뛰겠다는 생각을 품어라.’라고 말하곤 했다.”며 웃었다. 일찍이 이혼하고 혼자 아들을 뒷바라지한 어머니는 1986년부터 데이비스가 고교를 졸업한 2003년까지 트럭 운전사로 일했다. 이후로도 변호사 사무실에서 일하는 등 ‘투잡’으로 몸을 아끼지 않았다. 체리는 “운동을 시키려면 각종 대회에 내보내야 하는데 만만찮은 비용 때문에 고생했다.”면서 “한 번에 1000달러쯤 들어가는 돈을 대려고 이자 500%나 되는 일수를 빌려가며 허덕였다.”고 당시를 되돌아봤다. 어머니의 희생을 마음에 품었던 데이비스는 2003년 프로로 전향해 적잖은 돈을 벌고 있다. 4년 전 이탈리아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선 1000m 금메달로 보답했다. 흑인 1호였다.

●친한파 데이비스, 태권도가 취미

데이비스는 두 살 때 롤러스케이트를 시작했다. 동계종목엔 유난히 취약한 흑인으로선 일찌감치 싹을 보인 셈이다. 여섯살 때 코치의 권유를 받고 스피드스케이팅으로 바꿨다. 2001년엔 미국 스케이팅 사상 첫 흑인 대표선수에 올랐다. 역시 미국 남자 스케이팅 선수로는 처음으로 2004년과 2005년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 두 부문에서 동시에 국가대표를 지냈다.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는 쇼트트랙에 출전했다. 쇼트트랙에도 각별한 애정을 가진 데이비스는 1000m 금메달을 딴 뒤 “쇼트트랙팀에는 장권옥, 전재순 등 훌륭한 한국인 코치들이 나를 무척 많이 도와줬고 함께 훈련하게 허락해 줬다.”며 또 활짝 웃었다. 이처럼 한국인을 좋아하고 태권도를 취미라고 밝힐 정도로 한국과 친숙하다.

●클럽 가입위해 링크 옆으로 이사

데이비스는 아프리카 조상을 둔 아버지 레지널드 셕(54)이 스와힐리어에서 따온 이름이다. ‘빛과 위대함’이라는 뜻. 체리는 아들이 열 살 때 스피드스케이팅 클럽에 가입시키기 위해 시카고 에반스턴 링크 옆으로 이사하기도 했다. 방 2개가 딸린 아파트를 처음 장만했다. 그러나 워낙 흑인이 드물어 “위험하다.”는 이유로 쫓겨나는 등 차별을 겪었다.

데이비스는 “학교에서도 늘 왕따를 당했는데, 아이들이 하도 놀려서 내빼기 위해서라도 더 빨리 달리고 싶었다.”고 되뇌었다. 하지만 이런 불행은 끝내 세계 1인자라는 타이틀을 거머쥐게 만들었다.

1000m(1분06초42), 1500m(1분41초04) 세계기록과 함께 랭킹 1위인 그는 21일 1500m에서 대회 2관왕과 함께 토리노에서 은메달에 그친 한을 풀 계획이다. 191㎝의 당당한 ‘아프리카 후손’ 데이비스의 영광은 이미 하얗게 빛났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02-19 1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