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D-10 ⑤]숫자로 본 남아공월드컵

[월드컵 D-10 ⑤]숫자로 본 남아공월드컵

입력 2010-05-30 00:00
수정 2010-05-30 1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다음 달 11일부터 한 달 동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의 성격을 숫자로 풀어본다.

 △0= 한 대회 최소실점(2006년 스위스)△1= 사상 처음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열리는 월드컵.

 △2= 최소실점 챔피언.프랑스는 1998년,이탈리아는 2006년 2골만 내주고 정상에 올랐다.

 개최국인 남아공이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횟수.남아공은 1998년 프랑스월드컵과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본선 무대를 밟았다.

 △3= 독일의 우승횟수(1954,1974,1990년)중국,캐나다,그리스,트리니다드 토바고 등의 조별리그 3경기 무득점 탈락.

 △4=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의 우승횟수(1934년,1938년,1982년,2006년)△5= 브라질의 역대 최다 우승횟수(1958,1962,1970,1994,2002년)연장전 최다골(70년 이탈리아 대 서독 3-2)올레그 살렌코(러시아)가 1994년 카메룬과 경기에서 세운 한 경기 한 선수 최다골△7= 한국이 월드컵 본선에 연속 진출한 횟수(1986∼2010년) 역대 월드컵 우승국 수(브라질,서독,이탈리아,아르헨티나,우루과이,잉글랜드,프랑스) 브라질과 독일이 보유한 최다 결승진출 기록이탈리아의 월드컵 역대 최다 연승기록(1934∼1938년)△8= 최다골 무승부(1962년 소련 대 콜롬비아 4-4)스코틀랜드가 보유한 조별리그 탈락 최다기록(2라운드 진출 전무)원형에 가장 가깝다는 공인구 ‘자블라니’를 이루는 입체 조각의 수.

 △9= 최다골차 경기(1982년 헝가리 대 엘살바도르 10-1,1974년 유고 대 자이르 9-0,1954년 헝가리 대 한국 9-0)△10= 골키퍼의 본선 최다경기 무실점 기록.피터 쉴튼(잉글랜드.1982-1990년)과 파비앵 바르테즈(프랑스1998-2006년)가 보유.

 남아공월드컵 본선이 열리는 경기장의 수(요하네스버그 사커시티,요하네스버스 엘리스파크,넬스푸르트 음봄벨라,러스텐버그 로얄 바포켕,블룸폰테인 프리 스테이트,케이프타운 그린 포인트,더반 더반 스타디움,폴로콴 피터 모카바,포트 엘리자베스 넬슨 만델라 베이,프리토리아 로프터스 버스펠드)△11= 2002년 한국 대 터키전에서 터키의 하칸 슈퀴르가 홍명보에게 볼을 빼앗아 사상 최단시간인 11초 만에 득점.

 독일이 보유한 최다 4강 진출 기록.

 △12= 최다골 경기(1954년 오스트리아 대 스위스 7-5)△13= 프랑스 쥐스트 퐁텐느가 1950년 월드컵에서 세운 한 대회 최다골.

 브라질의 본선 연속 무패기록(1958-1966년 대회,11승2무)△15= 브라질 호나우두가 2006년에 수립한 월드컵 최다골 기록.

 △16= 감독 최다승(헬무트 숀.1966∼1978년) △17= 펠레의 최연소 득점 나이(1958년 웨일스전,17세7개월27일)△18= 룩셈부르크의 월드컵 본선 최다 좌절(1934∼2010년)△20= 브라질의 역대 최다 본선 참가(남아공월드컵까지 전대회)△22= 한국의 월드컵 본선 총 득점(1986년 박창선 1호골부터 2006년 박지성 22호 골까지)△23= 남아공 월드컵 팀별 출전선수 수 △25= 우승팀 최다골(서독.1954년)최다경기 감독(헬무트 숀.1966∼1978년)△27= 헝가리가 1954년 세운 한 대회 최다골△32= 남아공 월드컵 본선 출전국 수△38= 카메룬 로저 밀러의 역대 최고령 득점 나이(38세 24일,1990년 루마니아전)△42= 밀러의 역대 최고령 출전 나이(42세39일)△44= 북한은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이후 44년 만에 본선 출전.

 △47= 한국의 FIFA 랭킹△50= 마라도나의 한 대회 개인 최다 파울(1990년 이탈리아월드컵)△56= 최단시간 퇴장기록 60초(우루과이 조제 바티스타,1986년 스코틀랜드전)△64= 남아공월드컵 본선 경기 수△70= 최소골 대회(1930년.1934년)△105= 본선 출전국 가운데 FIFA 랭킹이 가장 낮은 팀은 105위 북한.

 △171= 가장 골이 많이 터진 1998년 프랑스월드컵.

 △517= 월드컵 본선에서 골키퍼의 최장시간 무실점 기록은 월터 젱가(이탈리아)의 517분.

 △1천753= 한국과 아르헨티나가 고지대 격돌을 벌이는 요하네스 사커시티의 고도는 해발 1천753m.

 △4천970= 월드컵 트로피 무게는 4천970g△19만9천= 역대 한 경기 최다관중(1950년 브라질 대회 우루과이-브라질 결승전)△369억2천100만= 남아공월드컵 우승팀 상금은 3천100만달러(약 369억2천100만원)△5천2억2천만= 남아공월드컵 총상금은 4억2천만달러(약 5천2억2천만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