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래사냥’ 딜레마

‘고래사냥’ 딜레마

입력 2012-07-07 00:00
업데이트 2012-07-0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먹이사슬 확인 나선 한국, 반발하는 선진국·환경단체

정부가 26년 만에 고래잡이를 재개하겠다고 밝히면서 국제사회의 비난이 커지고 있다. 최근 영해에 서식하는 고래 개체가 급증하면서 과학조사 필요성이 커지기는 했지만, 고래잡이에 민감한 세계적 환경단체와 국제 사회의 정서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그러나 올해 안에 국제포경위원회(IWC)에 고래잡이 계획서를 제출하겠다고 밝히는 등 강행 방침을 밝혔다.

이미지 확대
“고래잡이 안돼~”
“고래잡이 안돼~”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회원들이 6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고래를 잡는 퍼포먼스를 펼치며 정부의 고래잡이 재개 방침을 반대하고 있다. 현재 유일하게 과학조사용 고래잡이를 하는 국가는 일본이며, 한국 정부도 최근 연구를 위한 고래잡이 활동 재개 의사를 밝혔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농식품부는 6일 고래에 의한 국내 어업 피해를 연구 조사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상업적 고래잡이와는 거리가 멀다고 해명하고 나섰다. 우리나라가 1986년 IWC의 ‘상업용 고래잡이 모라토리엄(유예)’에 동참하면서 영해에 서식하는 고래 개체가 급증, 국내 어업에 끼친 영향과 고래 먹이사슬 등을 연구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현재 상괭이 3만 5000마리와 밍크고래 1만 6000마리 등 총 8만마리의 고래가 동해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어민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고래에 의한 피해 사례가 다수 신고되고 있다.”며 “고래가 오징어 등의 어종을 대량으로 잡아먹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하려면 고래잡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오징어 어획량은 2005년 18만 9000t에서 2010년 15만 9000t으로 최근 5년 새 15% 이상 감소했다. 줄어든 오징어만큼 고래가 먹어치우고 있다는 게 어민들의 주장이다.

고래로 인한 어업피해가 연간 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그래서 경북, 제주 등 어민들은 최근 이런 이유를 들어 포경을 허용해 달라고 당국에 건의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어민들이 선박에 불을 밝혔을 때 고래떼가 나타나면 상당수 오징어가 먹잇감이 되거나 흩어지므로 어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서규용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오전 내부 회의를 갖고 올해 안에 ‘과학조사 계획서’를 IWC에 제출하는 등 예정대로 절차를 진행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박철수 농식품부 수산정책실장은 “IWC 산하 과학위원회가 우리의 계획서를 검토한 뒤 입장을 밝히면 존중하겠다.”며 “정부로서는 고래에 의한 어업인의 피해가 사실인지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상업용과 달리 과학조사용 고래잡이는 IWC가 강제로 금지할 근거는 없다.

그러나 선진국과 환경단체는 한국의 고래잡이 재개가 사실상 상업적 목적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1889년 울산 장생포에 고래 해체장을 설치하고 100년 가까이 고래잡이를 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난이 확산되고 있다. 유일하게 과학조사용 고래잡이를 하고 있는 일본이 연구에 활용한 고래의 주검을 시장에 유통시킨 것도 거부감을 키우고 있다.

미국 정부는 5일(현지시간) 한국의 고래잡이 활동 재개 방침에 우려를 표명했다. 패트릭 벤트럴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미 정부는 상업적 포경 금지를 따르고 있다.”면서 “한국이 과학연구용 포경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한 데 대해 우려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우리는 한국 정부와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혀 설득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서울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7-07 2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