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스마트폰 잭팟 인도서 터진다

스마트폰 잭팟 인도서 터진다

입력 2015-01-20 00:00
업데이트 2015-01-20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5 스마트폰 최대 격전지는

#지난 14일 인도 뉴델리 르메르디앙 호텔에 현지 기자 200여명이 몰렸다. 삼성전자가 인도에서 최초로 출시하는 타이젠 스마트폰 ‘삼성 Z1’을 만나보기 위해서다. 현지 기자들은 제품을 만져 보고는 “인도 소비자를 위해 최적화된 스마트폰”이라고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삼성전자는 Z1뿐만 아니라 중저가 스마트폰 갤럭시 E시리즈 역시 인도에서 첫선을 보였다. 왜 하필 인도였을까.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는 지난 5일 기존에 인도에서 구사하던 온라인 판매전략을 버리겠다고 선언했다. 인도에서 인터넷을 통한 스마트폰 판매가 전체 판매 중 5%도 안 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온라인을 통해 판매가를 낮추는 전략을 구사해 온 샤오미는 인도 최대 통신사인 에어텔의 133개 매장에서 오프라인 판매를 하기로 했다. 왜냐고? 인도 시장을 잡기 위해서다.
이미지 확대
삼성전자가 인도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타이젠 기반 스마트폰 ´삼성 Z1´.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인도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타이젠 기반 스마트폰 ´삼성 Z1´.
삼성전자 제공


스마트폰 격전지로 인도가 뜨고 있다. 얼마나 매력적인 시장이길래 전 세계 IT 기업들이 중국도, 미국도 아닌 인도로 몰리는 걸까. 스마트폰 출하량은 인도와 중국의 시장 매력도를 가늠하는 바로미터다. 인도는 지난해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186% 이상 증가했으나 중국은 같은 기간 31%에 그쳤다.

이미지 확대
KT경제경영연구소는 “스마트폰 비사용자 수가 1억명 이상인 국가 중 중국은 세계 최대 시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보급률이 약 70%에 육박하면서 포화 상태에 접어들었다”면서 “인도는 2013년 3월 기준 스마트폰 보급률이 12.8%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3월 22.1%로 증가하는 등 성장가능성이 높아 전 세계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인도의 휴대전화 사용자는 약 7억 7000만명으로 이 가운데 스마트폰 활용인구는 20%밖에 되지 않는다. 스마트폰 전환 대상자가 약 5억명이나 존재하는 셈이다. 이는 향후 5년간 평균 40%의 고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재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는 삼성전자다. Z1 론칭 행사를 주재한 홍현칠 서남아총괄 전무는 “인도 스마트폰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면서 “많은 인도 소비자들이 비디오, TV프로그램,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스마트폰을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장 초기 단계인 데다, 지역 특성이 뚜렷한 인도를 삼성전자의 차세대 오픈 플랫폼인 ‘타이젠’의 성공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테스트베드로 삼겠다는 복안으로 분석된다.

현지 업체도 무시 못할 속도로 성장하며 글로벌 업체와의 격전을 예고하고 있다. 인도는 가격에 민감한 저소득층 소비자를 대상으로 단순한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이 주를 이룬다. 실제 인도 스마트폰 시장은 지난해 기준 190달러 미만의 저가 제품이 시장의 80%가량을 차지했다. 이 중 36~99달러대가 약 43.5%를 차지했는데, 마이크로맥스, 카본 등 현지 업체가 저가폰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이들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18%, 8%다. 업계 전문가는 “인도 등 신흥시장에서는 가격 대비 성능을 중시한다”면서 “온라인 판매, 자체매장 활용 등 다양한 유통경로를 추가해 채널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스마트폰 시장과 더불어 전자상거래 시장도 인도에 집중되는 모양새다. IT 전문지 리코드에 따르면 인도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지난해 32억 달러로 향후 4년간 매년 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 시장이 2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시장이나 3000억 달러의 중국 시장과 같은 규모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도 최근 인도에 출사표를 내며 12억 3000만여명의 인도인 공략에 나섰다. 이미 인도에는 아마존과 소프트뱅크가 진출해 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1-20 23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