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팀 = 주요 대기업 10곳 중 6곳은 내년에 올해보다 투자를 줄이거나 동결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경우 올해보다 소폭이나마 늘리겠다는 곳이 10곳 중 4곳꼴이었지만 실제 청년 실업난 해소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14일 연합뉴스가 국내 30대 그룹의 주요 계열사 32곳을 상대로 내년도 투자·고용 계획과 경영 환경 전망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 주요 기업들은 이같이 답했다.
내년도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15곳(46.9%)이 ‘동결하겠다’고 답했다. 3곳(9.4%)은 ‘5% 미만으로 축소’하고 1곳(3.1%)은 ‘5% 이상 줄인다’고 응답했다.
투자를 늘린다는 곳은 ‘5% 미만으로 증가’(4곳·12.5%)와 ‘5% 이상 증가’(6곳·18.8%)를 합쳐 10곳(31.3%)에 그쳤다.
3곳은 아직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다만 고용에서는 조금 더 적극적이었다. 1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올해 수준을 유지하거나 늘리겠다고 답했다.
동결이 14곳(43.8%)이었고, 5% 미만으로 증가가 7곳(21.9%), 5% 이상 증가가 6곳(18.8%)이었다. 계획을 수립 중인 곳도 4곳(12.5%)이었다.
투자보다는 사정이 낫지만 극심한 청년 실업난 해소에는 여전히 미흡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기업들은 내년도 기업 경영의 최대 위협요인으로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고립주의의 확산’(16곳·45.7%)과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과 정부 공백 상황’(9곳·25.7%)을 주로 지목했다.
10곳 중 9곳은 내년도 경영환경이 올해보다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영환경이 올해보다 크게 개선된다고 본 곳은 하나도 없었고, 3곳(9.4%)이 조금 나아질 것으로 봤다.
나머지는 올해와 비슷(21.9%)하거나 조금 나빠질 것(59.4%) 또는 많이 나빠질 것(9.4%)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그런 와중에도 내년 매출은 올해 수준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점쳤다. 내년에 매출이 10% 이상 증가할 것이란 곳이 2곳(6.3%), 5% 이상 증가할 것이란 곳이 9곳(28.1%) 있었고, 17곳(53.1%)은 올해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 경영 기조도 공격적·확장적인 곳보다는 방어적·수세적인 곳이 더 많았다.
시장 지배력 강화를 위해 ‘투자를 늘리고 인수합병(M&A)에도 적극 나선다’는 곳은 7곳(21.2%)에 그쳤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업을 재편하고 구조조정을 하겠다’(14곳·42.4%)거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겠다’(10곳·30.3%)는 곳이 많았다.
2곳(6.1%)은 아예 ‘투자·고용을 줄여 방어적 경영에 나서겠다’고 답했다.
정부의 경제 정책이 실패한 지점으로는 ‘정책 리더십의 부재 상황’(52.8%·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지목했고, 정부에 바라는 경제 정책으로는 ‘과감한 규제 개혁’(37.1%·복수응답)과 ‘신성장동력 발굴·정책 지원’(34.3%·복수응답)을 꼽았다.
최근 사회적 논란이 된 정부의 기부금·출연금 모금 관행에 대해서는 71.9%가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방법·절차 등이 투명해야 한다’고 답했고, 28.1%는 ‘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줄어들 때까지 당분간 기업들은 적극적·공격적인 경영에 나서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들로서는 다른 기업과 차별화되는 경쟁력, 기본적인 힘을 키우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농협, 대림산업, 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대한항공, 두산, 롯데,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증권, 부영, 삼성전자, 신세계, 아시아나항공, 에쓰오일, 포스코, 한국타이어, 한화, 현대백화점,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효성, CJ, GS, KCC, KT, KT&G, LG전자, LS전선, OCI, SK,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가 참여했다.
연합뉴스
고용의 경우 올해보다 소폭이나마 늘리겠다는 곳이 10곳 중 4곳꼴이었지만 실제 청년 실업난 해소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14일 연합뉴스가 국내 30대 그룹의 주요 계열사 32곳을 상대로 내년도 투자·고용 계획과 경영 환경 전망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 주요 기업들은 이같이 답했다.
내년도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15곳(46.9%)이 ‘동결하겠다’고 답했다. 3곳(9.4%)은 ‘5% 미만으로 축소’하고 1곳(3.1%)은 ‘5% 이상 줄인다’고 응답했다.
투자를 늘린다는 곳은 ‘5% 미만으로 증가’(4곳·12.5%)와 ‘5% 이상 증가’(6곳·18.8%)를 합쳐 10곳(31.3%)에 그쳤다.
3곳은 아직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다만 고용에서는 조금 더 적극적이었다. 1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올해 수준을 유지하거나 늘리겠다고 답했다.
동결이 14곳(43.8%)이었고, 5% 미만으로 증가가 7곳(21.9%), 5% 이상 증가가 6곳(18.8%)이었다. 계획을 수립 중인 곳도 4곳(12.5%)이었다.
투자보다는 사정이 낫지만 극심한 청년 실업난 해소에는 여전히 미흡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기업들은 내년도 기업 경영의 최대 위협요인으로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고립주의의 확산’(16곳·45.7%)과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과 정부 공백 상황’(9곳·25.7%)을 주로 지목했다.
10곳 중 9곳은 내년도 경영환경이 올해보다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영환경이 올해보다 크게 개선된다고 본 곳은 하나도 없었고, 3곳(9.4%)이 조금 나아질 것으로 봤다.
나머지는 올해와 비슷(21.9%)하거나 조금 나빠질 것(59.4%) 또는 많이 나빠질 것(9.4%)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그런 와중에도 내년 매출은 올해 수준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점쳤다. 내년에 매출이 10% 이상 증가할 것이란 곳이 2곳(6.3%), 5% 이상 증가할 것이란 곳이 9곳(28.1%) 있었고, 17곳(53.1%)은 올해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 경영 기조도 공격적·확장적인 곳보다는 방어적·수세적인 곳이 더 많았다.
시장 지배력 강화를 위해 ‘투자를 늘리고 인수합병(M&A)에도 적극 나선다’는 곳은 7곳(21.2%)에 그쳤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업을 재편하고 구조조정을 하겠다’(14곳·42.4%)거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겠다’(10곳·30.3%)는 곳이 많았다.
2곳(6.1%)은 아예 ‘투자·고용을 줄여 방어적 경영에 나서겠다’고 답했다.
정부의 경제 정책이 실패한 지점으로는 ‘정책 리더십의 부재 상황’(52.8%·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지목했고, 정부에 바라는 경제 정책으로는 ‘과감한 규제 개혁’(37.1%·복수응답)과 ‘신성장동력 발굴·정책 지원’(34.3%·복수응답)을 꼽았다.
최근 사회적 논란이 된 정부의 기부금·출연금 모금 관행에 대해서는 71.9%가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방법·절차 등이 투명해야 한다’고 답했고, 28.1%는 ‘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줄어들 때까지 당분간 기업들은 적극적·공격적인 경영에 나서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들로서는 다른 기업과 차별화되는 경쟁력, 기본적인 힘을 키우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농협, 대림산업, 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대한항공, 두산, 롯데,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증권, 부영, 삼성전자, 신세계, 아시아나항공, 에쓰오일, 포스코, 한국타이어, 한화, 현대백화점,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효성, CJ, GS, KCC, KT, KT&G, LG전자, LS전선, OCI, SK,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가 참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