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산업 대출 잔액 증가분의 절반 이상 부동산에 몰려“부동산 급락하면 시스템 위기로 번져… 점진적으로 안정화해야”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많은 돈이 풀리고 있지만, 절반 이상이 부동산 자금에 흘러가는 모습이다.2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1천313조3천54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1천191조6천376억원)와 비교하면 121조7천169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이 중 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 잔액과 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을 합한 값은 693조2천143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64조8천85억원 증가했다.
전체 가계대출 증가분(121조7천169억원)의 절반 이상인 53.3%가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 간 것이다.
여기에 보험사나 여신전문기관의 주택담보대출까지 더하면 전체 가계대출에서 주택으로 흘러간 비율은 더 높아진다.
이런 모습은 가계 뿐 아니라 산업 대출에서도 마찬가지다.
지난 2분기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 잔액의 합은 1천15조9천921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45조3천51억원(4.7%) 늘어났다.
이 중 부동산 및 임대업의 대출 잔액은 187조4천541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3조4천106억원(14.3%) 증가했다.
전체 산업 대출 잔액 증가분의 절반 이상(51.7%)이 부동산 및 임대업으로 흘러간 셈이다.
반면 제조업의 대출 잔액은 331조7천1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3천190억원(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부동산 및 임대업 대출 잔액 증가분이 제조업의 18배에 달하고, 증가율로 따지면 36배 가량 차이 나는 것이다.
이처럼 부동산으로 자금이 쏠리면서 부동산 가격도 크게 뛰고 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국민 대차대조표 통계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주택 시가총액은 3천732조222억원으로 집계됐다.
2015년 말 3천511조9천867억원에서 1년 동안 220조355억원, 6.3% 늘어난 규모다.
지난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1.0%)은 물론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4.7%)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특히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을 이끄는 재건축 아파트의 시가총액은 더 빠르게 늘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기준 전국의 재건축 추진 아파트의 시가총액은 156조2천289억원으로, 1년 전(136조9천677억원) 보다 19조2천612억원(14.1%) 증가했다.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자 정부도 8·2부동산 대책 등을 내놓으며 주택담보대출 조이기에 나서고 있다. 또 조만간 가계부채 대책을 추가로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무작정 부동산 조이기에만 나서기도 어렵다.
전체 부채나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각각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보니 부동산이 급락하면 전체 경제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신한은행이 전국 만 20∼64세 취업자 대상 설문조사를 토대로 작성한 ‘2017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74%였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2008년 금융위기 때처럼 부동산 시장이 급락하면 부동산에 묶여 있던 대출들이 문제가 되면서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부동산 가격을 점진적으로 안정화하면서 가계부채를 줄여야 한다”며 “현재 정부 대책이 얼마나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