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작년 생산자물가 6.4% 급등…소비자물가도 고공행진

작년 생산자물가 6.4% 급등…소비자물가도 고공행진

김승훈 기자
입력 2022-01-20 17:29
업데이트 2022-01-20 17: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석유·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 차질 등으로 지난해 생산자물가지수가 6.4%나 뛰었다. 10년 만의 최대 폭 상승이다.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자물가가 치솟으면서 올 상반기 소비자물가도 지난 연말에 이어 3% 이상 고공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평균 생산자물가지수(2015년 100 기준)는 109.6으로, 1년 전(103.03)보다 6.4% 상승했다. 2011년 6.7% 이후 10년 만의 최고 기록이다. 지수 자체는 1965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종전 최고치는 2012년 106.44였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국내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보여 주는 지표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지수가 클수록 생산자들의 판매 가격도 높아짐을 뜻한다. 생산자물가는 보통 1개월 정도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10~12월 3개월 연속 3%대로 치솟은 소비자물가가 올해에도 계속 상승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지난해 연간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는 1년 전보다 6.4% 올랐다. 같은 기간 식료품은 5.9%, 신선식품은 1.9%, 에너지는 11.3%, 정보기술(IT)은 3.4%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한 달간 생산자물가지수는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11월(113.23)과 유사한 113.22로 집계됐다. 전달 대비 변동률이 0%에 가까워 한은은 ‘하락’이 아닌 ‘보합’ 상태로 판단했다. 하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9.0% 높다. 전달 대비 생산자물가지수는 2020년 11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13개월 연속 상승세였다.

김승훈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