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로나에 ‘유동성 파티’ 지속… 실물경제·금융시장 괴리 최악

코로나에 ‘유동성 파티’ 지속… 실물경제·금융시장 괴리 최악

김승훈 기자
입력 2022-03-10 04:02
업데이트 2022-03-10 05: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DP 대비 빚 비율 26.5%P 높아져
외환·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심각
‘실물’ 위축 막는 금융완화 조치에
가계·기업 자산 투자용 부채 늘려

코로나19 이후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괴리 현상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파티’가 지속되면서 실물경제 성장 대비 가계빚이 대폭 늘어난 결과다.

9일 한국은행의 ‘최근 우리나라 금융 사이클의 상황 및 특징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뚜렷해진 금융 사이클과 실물 사이클 간 비동조화 경향은 코로나19 이후 더욱 심화했다.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간 동조화 지수는 1990~1999년 0.74에서 2000~2008년 0.69로 감소한 데 이어 2009~2021년 3분기엔 0.49로 줄었다.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용(빚) 비율은 코로나19 기간인 2019년 4분기부터 2021년 3분기까지 26.5% 포인트 높아졌다. 외환위기(1997년 2분기~1999년 1분기) 13.4% 포인트, 신용카드 사태(2001년 1분기~2002년 4분기) 8.9% 포인트, 글로벌 금융위기(2007년 4분기~2009년 3분기) 21.6% 포인트 등 과거 경제위기 때보다 훨씬 높았다.

한은은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괴리는 유동성 상황, 자산 가격 변화 등에 주로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이후 GDP 등 실물경제 성장보다 자산 투자를 위한 가계·기업 신용이 더 크게 확대돼 금융 불균형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는 의미다.

과거 평균 대비 신용 증가가 심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실질신용갭률’도 코로나19 이후 단기간 내 빠르게 확대됐다. 2021년 3분기 말 실질신용갭률은 5.1%로 신용카드 사태(2002년 4분기) 3.4%,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4분기) 4.9%를 웃돌았다.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실물경기 위축을 막기 위한 금융 지원·완화 조치 등이 시중 유동성 확대와 더불어 가계·기업 부채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더 심화한 금융과 실물의 괴리 현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2022-03-10 2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