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해제 맞춰 소비 활성화
“4%대 물가… 경기회복 제한 우려”
![농축수산물 수입 가격지수가 지난해 말부터 석 달 연속 30%대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이면서 서민 밥상 물가를 위협하고 있다. 사진은 12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농축산 코너에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안주영 전문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2/SSI_20220412180820_O2.jpg)
안주영 전문기자
![농축수산물 수입 가격지수가 지난해 말부터 석 달 연속 30%대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이면서 서민 밥상 물가를 위협하고 있다. 사진은 12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농축산 코너에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안주영 전문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2/SSI_20220412180820.jpg)
농축수산물 수입 가격지수가 지난해 말부터 석 달 연속 30%대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이면서 서민 밥상 물가를 위협하고 있다. 사진은 12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농축산 코너에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안주영 전문기자
안주영 전문기자
정부는 지난 15일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정책점검회의를 열고 보험·문화 분야 물가 안정 방안과 함께 스포츠 관람 및 숙박 분야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보험 마일리지 특약에 모든 계약자가 자동 가입되도록 해 보험료 인하 효과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또 축구·야구·농구·배구 등 프로스포츠 네 개 종목의 ‘반값 할인 티켓’을 지원하고 최대 3만원의 숙박료 할인권을 발행하기로 했다.
숙박·음식점업은 코로나19 기간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의 직접적 피해를 받아 왔다. 지난 2월 숙박·음식점업 서비스업 생산지수(2015=100, 계절조정지수, 잠정치)는 81.7로 코로나19의 국내 확산 이전인 2020년 1월(97.7)보다 낮다. 2월 전산업 생산지수는 115.5로 2020년 1월(110.6) 수준을 웃돌았다.
아울러 지난달 숙박·음식점업 계절조정 취업자 수는 211만 2000명으로 2020년 1월보다 9.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계절조정 취업자 수는 2796만 3000명으로 1.7%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서비스업의 경기가 급반등하긴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재부는 이달 경제동향에서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내수 회복 제약이 우려되고 물가 상승세가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서비스업 수요가 늘어나 경기가 회복된다고 하더라도 물가 상승을 부추기며 결국 회복의 폭을 제한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4.1% 올라 10년 3개월 만에 4%대에 진입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3.9%로 제시했다. 국내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는 점은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으로,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는 공급 측 물가상승 압력으로 각각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2-04-1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