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등 “토스·카카오페이 수수료 차별적” 반발

저축은행 등 “토스·카카오페이 수수료 차별적” 반발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23-01-02 16:20
업데이트 2023-01-02 1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축銀 평균 수수료 1.7~18%
시중은행에는 0.4~0.5% 적용

토스 금리비교 화면. 토스 캡처
토스 금리비교 화면. 토스 캡처
토스·카카오페이 등 모바일 금융 플랫폼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 부과하는 수수료율이 은행 등 1금융권에 비해 과하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수수료율 여건을 개선하지 않으면 플랫폼에서 철수하겠다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 플랫폼이 저축은행에 부과하는 평균 중개 수수료율은 1.7∼1.8%이다. 반면 은행권에는 0.4∼0.5%의 수수료를 받는다. 한 저축은행 임원은 “일부 플랫폼사에서 요구하는 선택 수수료(고객의 선택에 대해 부과하는 수수료)까지 포함하면 실제 중개 수수료 지급률은 최대 2.5%에 육박한다”고 밝혔다.

저축은행 업계는 금융 플랫폼이 대출금리의 약 10%를 중개수수료율로 부과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때문에 고신용자를 대상으로 저금리 대출을 취급하는 은행 등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수료를 내는 반면,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중금리 대출을 내주는 저축은행은 많은 수수료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모든 금융권이 동일한 방식으로 플랫폼을 이용하는데도 동일한 시스템 이용 원가를 무시하고 업권간 차별적인 중개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또 중개 수수료가 높아질수록 금융회사의 업무원가(비용)가 상승해 결과적으로 대출 금리가 오르고 중저신용자는 더 높은 이자 부담을 안게 될 수 있다고도 주장하고 있다.

플랫폼사 관계자는 “수수료 책정은 기본적으로 금리와 연관이 가장 높다. 평균 대출 금리가 연 3∼4%인 시중은행과 연 15∼20%인 저축은행에 동일한 수수료를 적용할 수는 없다”면서 “본질적으로 다른 상품에 대해 같은 기준을 적용해 달라는 것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밝혔다.

플랫폼사의 입장이 완고한만큼 저축은행과의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들은 플랫폼사에 중개 수수료율을 은행권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하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개별 저축은행의 협상력이 부족하다면 저축은행중앙회에 계약권을 일임해 협상을 진행하는 안도 검토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플랫폼사의 관행이 과도하다고 판단될 경우 중앙회가 중개 계약을 위임받아 입찰할 용의가 있다.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플랫폼 중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업체 몇 곳에만 입점하는 방식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신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