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의사가 서울 의사보다 돈 더 번다… 병원 없어 수요 몰린 탓

지방 의사가 서울 의사보다 돈 더 번다… 병원 없어 수요 몰린 탓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3-10-25 11:25
수정 2023-10-25 12: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

국세청, 의료업 평균 사업소득 신고 현황
울산 병원 의사 연봉 3.8억원… 전국 1위
서울 3.47억 8위, 경기 3.0억 16위 그쳐
비수도권 의사가 매년 2000만원 더 벌어

이미지 확대
상경 진료, 오늘도 서울 병원 찾아서
상경 진료, 오늘도 서울 병원 찾아서 17일 서울 강남구 고속철도 수서역 앞 버스정류장에서 서울 강남 일대 대형 종합병원의 진료를 받으려는 지방 환자 등 이용객들이 병원 셔틀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2023. 10. 17. 연합뉴스
지방에 병원을 차린 의사가 서울 등 수도권 소재 의사보다 연 2000만원을 더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단지 돈 때문만은 아니라는 의미다. 지방에 병원 수가 적어 환자 수요가 몰린 탓에 지방 의사의 소득이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국세청이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의료업 평균 사업소득 신고 현황’(치과병의원·한의원 제외)에 따르면 2021년 귀속 평균 신고액은 3억 42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의사들이 평균 연봉이 3억원을 훌쩍 웃돈다는 뜻이다.

지역별로는 17개 시도 가운데 울산에 개업한 의사의 평균 소득이 3억 82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충남 3억 8100만원, 전남 3억 7900만원, 광주 3억 7400만원, 경남 3억 6800만원, 대구 3억 6500만원, 전북 3억 5000만원, 서울 3억 4700만원, 부산 3억 4600만원, 세종 3억 4300만원, 경북 3억 4200만원, 강원 3억 4000만원, 충북 3억 4000만원, 대전 3억 1000만원, 인천 3억 900만원, 경기 3억 300만원, 제주 2억 9500만원 순이었다. 서울은 8위, 인천은 15위, 경기는 16위로 수도권 의사의 소득은 지방보다 대체로 낮은 편이었다. 울산과 제주 지역 의사의 소득 격차는 8700만원에 달했다.

의사의 평균 소득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해 계산한 결과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개업의는 평균 3억 3300만원, 비수도권 개업의는 3억 5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의사가 비수도권 의사보다 연 2000만원가량 적게 번다는 의미다.

수도권 병원의 소득은 비수도권보다 적지만 우리나라 병원의 절반 이상이 현재 수도권에 몰려 있는 상태다. 2021년 기준 전국의 병의원 사업장은 총 4만 1192개이고, 이 가운데 54.7%에 해당하는 2만 2545개가 수도권 소재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에 있는 병원은 1만 5419개로 수도권 병원 전체의 68.4%에 달했다. 전국의 병원 10곳 중 4곳(37.4%)이 서울에 집결해 있는 셈이다.

한병도 의원은 “비수도권 의료인의 평균 소득이 더 높은데도 수도권에만 의사가 몰리는 것은 경제적 보상만으로 지방 의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이 드러난 것”이라면서 “지방 필수 의료 인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국립 의학전문대학원 등 공공의대 설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