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년 사망원인통계 발표
지난해 사망자 팬데믹 이후 4년만에 감소
극단적 선택 사망자는 2014년 이후 최고
코로나19 종식 후유증 본격화된 것으로 분석
최근 10년 간 자살 통계 추이
<자료: 통계청>
<자료: 통계청>
지난해 국민 10만 명당 27.3명이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4년 이후 9년만에 최고치다. 코로나19 종식으로 전체 사망자 수는 줄었지만 자살률은 오히려 2년 만에 반등하면서 우리 국민의 정신 건강에 경고등이 켜졌다.
통계청은 4일 ‘2023년 사망원인통계’에서 지난해 사망자 수가 35만 2511명으로 전년보다 5.5%(2만 428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사망자 수가 줄어든 것은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이전인 2019년 1.2%가 감소한 이후 4년 만이다. 사망자 수는 2020년 30만 4948명, 2021년 31만 7680명 등 코로나19 기간 증가세를 보이다 2022년 37만 2939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2022년 사망자는 1983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후 역대 최다였다.
지난해엔 코로나19 종식으로 사망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7442명으로 2022년 2만 3838명보다 76.2% 급감했다. 전년도엔 코로나19가 사망원인 3위였던 반면 지난해엔 10위까지 떨어졌다. 사망 원인 중 1위는 암(24.2%)이었고 2위는 심장 질환(9.4%), 3위는 폐렴(8.3%)이 차지했다.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자 수는 1만 3978명으로 전년 대비 8.3%(1072명) 증가했다. 자살률은 27.3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27.3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는 뜻이다. 2014년(27.3명)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다.
2019년 26.9명이었던 자살률은 2020년 25.7명으로 떨어졌다가 2021년 26.0명으로 소폭 올랐다. 2022년 25.2명으로 감소했지만 지난해 다시 27.3명으로 불어났다. 1년 만에 8.5%가 치솟은 꼴이다.
남성 자살률이 38.3명으로 전년보다 8.4% 증가했고, 여성은 16.5명으로 9,0% 증가했다. 하루 평균 자살 사망자 수는 38.3명이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준인구를 바탕으로 국가 간 연령 구조의 차이를 없앤 연령표준화 자살률도 우리나라가 24.8명으로 집계돼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OECD 평균은 10.7명이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사회적으로 고립돼있다가 지난해 풀렸고, 팬데믹 기간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부분이 코로나19 이후까지 지속되면서 상대적인 박탈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 심화 등 코로나19가 남긴 후유증이 지난해 본격적으로 발생했다는 뜻이다.
보건복지부는 자살을 하나의 선택지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자살실태조사 결과 ‘자살은 때때로 구제책이 될 수 있다’, ‘자살만이 유일한 합리적 해결책인 상황이 있다’ 등의 문항에 대한 동의 비율이 2018년 조사에 비해 각각 6.2%포인트, 2.9% 포인트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정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발생한 자살 사망자 수가 증가한 상황임을 엄중히 인식해 지자체, 종교계, 언론계, 학계 등 사회 전 분야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